"6개 신문 전국 공동배달 센터 구축 땐 정부 정보망으로 활용할 수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최근 경향신문.국민일보.문화일보.서울신문.세계일보.한겨레 등 6개 신문이 공동으로 마련한 '신문유통원 설립 기초안'에 "공동배달(공배) 센터의 전국적인 유통 네트워크가 구축되면 정부 및 지자체의 공익적인 정보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6개 신문사 대표들은 지난달 24일 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신문유통원의 설립은 효율적인 배달 시스템을 구축해 신문시장 유통체계를 개선하고 신문의 질적 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이라며 이 기초안을 전달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박형준 의원은 12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기초안을 공개하면서 "이럴 경우 신문유통원이 자칫 정부 기관의 정보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정부와 언론 간의 이해관계에 따라 권언유착으로 변질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기초안에 따르면 6개 신문사가 신문유통원 설립을 위해 2006년 이후 3년간 1601억원의 국고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 항목별로는 투자자금 701억원과 운영자금 900억원 등이다. 또 별도로 올해 유통원 설립 및 시범센터 운용 소요자금으로 50억원을 요구했다. 이들 신문사가 제안한 신문유통원의 공배센터수는 810개며 면단위 분소는 1209개다. 박 의원은 "지난 연말 국회에서 통과된 신문법 개정안에 신문유통원 설립을 규정하고 있지만 6개 신문사의 요구는 국민적 정서에 비춰 지나치게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또 "신문유통원이 비용 절감 방안으로 우체국.동사무소.노인회관 등 공공기관의 유휴공간을 신문 배포장소로 이용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는데 이 또한 정부와 언론 간의 유착관계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해당 언론사들은 이 같은 제안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