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북핵·동맹강화 집중 논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10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의 사전 실무조율 작업이 7일 사실상 마무리됐다. 이날 오후 청와대와 외교부에서 간단히 브리핑도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형식과 내용 면에서 양국의 의견이 99% 조율된 상태"라고 밝혔다.

우선 양국 정상은 10일 백악관에서 오찬을 전후해 두 시간가량 만난다. 오전엔 한 시간 동안 '핵심 의제'를 집중 논의한다. 북핵 문제와 한.미 동맹이 양대 핵심 의제다. 양국에서 7명씩 배석하며,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홍석현 주미대사 등이 우리 측 주요 배석자다.

오전 회담을 마친 뒤에는 오찬장으로 이동하면서 10분가량 내외신 기자들에게 회담 결과를 설명한다. 이어 한 시간가량 오찬 회담이 이어진다. 여기에서는 '일반 의제'인 동북아 정세와 남북관계 등이 논의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오전 회담이나 오찬이 길어질 경우 자연스레 정상회담 시간이 늘어날 수 있게 일정을 유연하게 조정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회담 후 공동성명은 따로 발표하지 않는다. 정부 당국자는 "공동 성명을 준비하는 데에도 적잖은 시간이 든다"며 "정상회담에만 모든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처음부터 공동 발표는 하지 않기로 양해가 됐다"고 했다.

가장 민감한 사안은 의제의 구체적인 항목을 정하는 일이었다. 관심의 초점이었던 ▶동북아 균형자론▶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작전계획 5029-05 등은 정상회담장에서 얘기하지 않기로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양국 정상이 오로지 북핵 문제 해법과 한.미 동맹을 강화하는 방안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본지 6월 2일자 4면>

노무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대북 유인책을 제시할 것이란 뉴욕 타임스 보도에 대해서도 이 당국자는 "논의의 균형추가 한쪽으로 쏠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전면 부인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중요한 제안이란 북한이 6자회담에 나온 뒤에나 가능한 것"이라고 했다.

종합하면 '사전에 모든 조율이 끝난 만큼 정상회담에서 문제가 될 만한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란 얘기다.

하지만 당일 현장 분위기가 실무진의 의도대로 흘러갈지에 대해서는 선뜻 확신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정부 고위 당국자도 이날 '포괄적 대북 제재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은 없느냐'는 질문에 "솔직히 그럴 가능성이 있다, 없다를 누가 확신하겠느냐"며 "정상회담에서 특수성은 언제나 존재한다"고 말했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