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관념 벗어나 매우 다양해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최근 신춘희곡들은 종래 희곡에 대해서 가졌던 어떤 고정된 관념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인물의 처리, 무대공간의 활용, 주제의 선택 등에서 매우 다양화 해 가고 있는 좋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이러한 자유가 드라마의 형식적 제약에 적절히 컨트롤되지 못해서 오는 결함들이 두드러진 것 또한 금년의 공통된 특징이기도 했다.
특히 드라마는 언어의 절약을 생명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불필요하거나 함축성이 약한 언어의 낭비가 많았음을 지적하고 싶다.
최종심에 오른 작품은 이정희의<나비아파트 여인들>, 우희천의<어떤 주말>, 고서경의<하느님의 지우개>, 한태숙의<자장, 자장, 자> 4편이었다. 앞의 3작품은 모두 유려한 대사, 연극적 구성의 솜씨를 장점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나비 아파트…>는 극의 전반부가 너무 길고 결말이 작위적인 흠이 있었고 <어떤 주말>은 인물간의 상호 관계에서 빚어지는 극 행동이 약해 주제가 뚜렷하지를 못했다
대사의 세련미가 돋보인 <하느님의 지우개>는 그 대신 말을 위한 말의 장난기가 좀 심했고 화가의 죽음이 관념에 머물고 있었다.

<자장, 자장, 자>는 극도로 절제된 대사와 억제된 행동 속에 생의 처절함이 포화상태에 도달해 있었다.
매우 그로테스크한 얘기임에도 혐오감이나 불쾌감을 주지 않는 것은 이 작품과 작가의 아름다움이었다.
연출을 염두에 두고 쓴 때문인지 그만큼 희곡으로서는 채워져야 될 부분이 많았지만 이 작품을 당선작으로 결정한 것은 작품의 강한 정서적 충격과 작가의 치열한 정신이 앞으로의 가능성을 충분히 약속해 주었기 때문이다.
심사위원=김정옥 한상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