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대-창원대 통합 무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경상대와 창원대의 통합이 무산되고 국립울산대 문제가 신설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등 지역의 국립대 구조조정 문제가 새국면을 맞고있다.

경상대와 창원대는 지난 3일 통합 기본합의서 도출을 위한 공동추진위원회를 열었으나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이로써 지난해 4월 21일 통합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후 13개월 만에 통합 논의는 종결됐다.

양 대학은 대학본부 위치와 단과대학 배치 등 핵심 쟁점사항에 합의를 보지 못했다.

두 대학은 더 이상 통합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지 않기로 했으며 각 대학의 특성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향후 교육인적자원부의 구조개혁 선도대학 지원사업에 각각 참여키로 했다.

통합 무산과 관련 경상대는 대학본부 이전 등 창원대의 과도한 요구 탓으로 돌렸고, 창원대는 미래 지향적인 관점의 통합 방안에 경상대가 따르지 않았기 때문 이라고 밝혔다.

울산국립대 문제는 교육부와 울산시가 신설쪽에 비중을 두고 밑그림을 다듬고 있다.

지난 2월 정부.울산시.해양대가 합의했던 한국해양대 이전이 어려운 상황을 맞았기 때문이다.

6일 울산시에 따르면 정부는 한국해양대 이전 합의안 무산을 전제로 정원 1000~1500명 규모의 특성화 대학을 BTL(민간자본이 건물을 지어 국가에 양도하고 원금과 적정 수익을 임대료 형식으로 회수)방식으로 신설한다는 내용의 밑그림을 울산시에 구두로 알려왔다.

김기수 울산시 기획관은 "한국해양대 울산 이전안에 합의할 당시 대학본부는 당연히 울산으로 옮겨온다는게 암묵적 전제였다"며 "그 전제가 허물어지면 신설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한국해양대는 그동안 수차례 "대학본부는 부산 영도에 남는다"는 입장을 밝혔고, 최근 울산시에도 본부이전이 불가능하다고 통보해왔다.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지난달 24일 부산.울산을 방문, "해양대 울산이전 문제는 부산권에서 6월말까지 결론을 내려야 하며 이전이 무산될 경우 울산에 국립대학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이기원.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