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자산운용사 20곳 유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정부는 2015년까지 세계 50대 자산운용사 가운데 20곳을 국내에 유치하는 등 자산운용업을 특화해 육성하기로 했다. 또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할 수 있는 대상을 확대해 유가증권 시장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재정경제부는 이런 내용이 포함된 동북아시아 금융 허브 추진 세부 전략을 6일 발표했다.

전략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자산운용업과 기업구조조정 산업에 특화된 동북아 금융 허브로 육성된다. 재경부는 올해 설립되는 한국투자공사(KIC)의 자산을 위탁받아 운용하는 외국 자산운용사들이 한국인 직원을 채용하고 국내에 사무실이나 지점을 두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자산운용 인력을 양성하고 국내 회사들과 경쟁을 통해 국내 자산운용업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세계 50대 자산운용사 중 우리나라에 진출한 회사는 미국의 피델리티 등 4곳이다.

또 명망 있는 해외 신용평가사들을 국내로 유치해 이들의 신용평가를 통해 외국인들이 국내 채권에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현재 신용평가 전문요원 30명 이상, 자본금 50억원으로 돼 있는 신용평가회사 설립 기준을 완화해 해외 신용평가사들이 소수의 인력으로 국내 시장에서 영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재경부는 신용이 나쁜 기업들도 신용평가를 제대로 받도록 해 이들 기업이 발행하는 고수익.고위험 채권인 '정크본드' 시장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특히 신용등급이 투자부적격 단계인 기업도 자산을 담보로 ABS를 발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기업구조조정 분야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사모펀드(PEF)에 대한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하고 국내에서 설립된 PEF가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재경부에 따르면 현재 PEF가 투자할 수 있는 부실채권이 중국에 3000억 달러, 일본에 3300억 달러 이상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재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기업구조조정 분야와 ABS 발행 등에서 많은 경험을 축적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강화해 갈수록 늘어나는 중국의 금융 수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