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11일 정상회담 때 북한 자극 않기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미 양국은 오는 11일(한국시간) 열리는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을 추가로 자극하지 않도록 한다는 데 합의한 것으로 5일 전해졌다.

미국에서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나고 3일 귀국한 권진호 대통령 국가안보보좌관과 송민순 외교부 차관보도 미국 측과 이 같은 내용에 대해 의견을 모은 뒤 돌아왔다고 여권의 고위 소식통이 전했다.

이 소식통은 "따라서 한.미 정상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제재 방법이나 체제 전복 등의 대북 강경책을 논의해 북한에 6자회담 거부의 핑계를 줄 가능성은 없어졌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한.미 간에 평화적 해결 이외의 대안 논의는 추후 그 같은 실제 상황에 부닥칠 경우 논의할 문제라는 데 한.미 간의 공감대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권 보좌관도 "해들리 보좌관은 미국이 북한에 대해 일방적 행동을 할 것이라는 일부 추측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의 한 상임위원은 이날 "북한이 이달 내로 6자회담에 복귀할 징후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구체적 내용을 밝히긴 어렵지만 북한이 매우 유연해졌다"고 말했다. 또 일본의 마이니치 신문은 북한 유엔대표부와 미 국무부가 북한의 6자회담 복귀 문제에 대해 전화로 협의했다고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하지만 이 같은 북한의 6자회담 복귀 가능성에 대해 정부의 다른 고위 관계자들은 "부시 대통령의 '미스터 김정일'표현 등 여러 사례를 근거로 그 같은 기대와 희망을 가질 수는 있다"면서도 "북측과 6자회담 복귀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 접근이 있는 상황은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