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북전단 살포지역 원천봉쇄도 고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고사총 사격 다음날 인천 온 북한 선수단 유엔 군사정전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오전 경기도 연천군 모 부대 위병소 앞에서 북한의 고사총 탄두가 떨어진 지점을 확인하고 있다(왼쪽 사진). 같은 날 오후 북한 장애인아시안게임선수단은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정현 북한 선수단장(오른쪽 앞)이 환영나온 시민에게 손을 내밀고 있다. [뉴스1, 뉴시스]

정부가 11일 청와대에서 국가정보원과 통일부 등 긴급 안보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민간단체들의 대북 전단 살포 자제를 유도키로 했다. 이는 민간 의 대북 전단에 개입할 법적 근거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전단 살포를 막지 않았던 것과는 다른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12일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일행의 인천 아시안게임 참석을 계기로 모처럼 조성된 남북관계 개선 흐름을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관계부처 회의에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전단 살포 단체에 신중하고 현명하게 판단할 것을 설득하고, 경찰이 살포지역을 원천봉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접경 지역 주민들도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11일엔 지역 주민들의 반대와 경찰의 봉쇄로 전단 살포가 무산됐다. 다만 정부는 추가로 북한군이 포격이나 총격에 나서 우리 측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군사적 대응도 불사한다는 입장을 정했다.

 새누리당에서도 대북 전단 살포 자제 요구가 나왔다. 김무성 대표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을 자극해서 대화가 되지 않으면 우리가 피해를 입는다”며 “가능한 한 북한을 자극하지 않고 남북 간에 교류·협력·대화가 확대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북한은 12일 고위급 접촉 북측 대변인 담화에서 “”삐라 살포와 같은 엄중한 도발이 계속되면 보다 강도 높은 물리적 타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위협했다. 그러면서 “2차 북남 고위급 접촉도 일정에 올라 있다”며 “아직 선택의 기회는 있다”고 말해 여지를 남겼다. 통일부 당국자는 “고위급 접촉 재개 합의는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