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얼 인테리어

중앙일보

입력

콘크리트 벽면, 철제 가구 등 거친 소재가 그대로 보여지는 인더스트리얼 인테리어가 인기를 얻고 있다. 신발공장이었던 폐공장을 카페로 꾸민 ‘앤트러사이트’.

 최근 4~5년간 인테리어 트렌드의 중심은 ‘원목’ ‘자연친화’에 초점을 맞춘 북유럽 스타일이었다. 북유럽 스타일이 도시 전체를 장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많은 이가 열광했다. 그런데 최근 북유럽 스타일과는 전혀 다른 인테리어 스타일이 주목받고 있다. 바로 '인더스트리얼(industrial)’이다.

철제 가구로 모던하게, 스크래치로 예스럽게

인더스트리얼로 꾸민 서울 홍제동의 한 아파트.

 인더스트리얼의 인기는 카페·상점 등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다. 서울 강남과 이태원, 홍대 거리를 걷다 보면 배관과 전선을 노출한 천장, 부서진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연출한 벽면, 폐목을 깔거나 시멘트가 드러나도록 바닥을 시공한 카페가 쉽게 눈에 띈다. 지난 22일, 기자가 직접 홍대 거리로 나가 카페와 편집숍, 음식점 등을 둘러보니 10군데 중 7~8군데는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을 접목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테리어 브랜드들도 앞다퉈 철제·금속을 소재로 한 조명과 소품, 가구를 선보이고 있다. 유명 가구거리에는 철제 가구 전문 매장이 생겼을 정도다. 그뿐이 아니다. 주택이나 아파트 같은 일반 주거 공간에 인더스트리얼을 시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개성을 살려 독창적인 스타일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디자인랩의 김민수(인테리어 스타일리스트) 실장은 “최근 몇 년간 정갈하고 포근한 화이트 톤의 북유럽 스타일이 강세였다. 북유럽 스타일에 식상한 대중들이 상반된 감성의 인더스트리얼 인테리어를 신선하게 느끼고있다”며 “특히 집을 처음 꾸미는 30, 40대들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기 위해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을 많이 선택한다”고 말했다.
 결혼 8년차인 김성현·송수아씨 부부는 지은 지 20년이 넘은 서울 홍제동의 한 아파트로 이사하면서 집 안 전체를 인더스트리얼로 리모델링했다. 이들 부부의 집은 노출 콘크리트, 철제 가구로 인해 전체적으로 모던하다. 스크래치가 나거나 칠이 벗겨진 소품으로 인해 예스러움도 묻어난다. 김씨는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의 매력은 ‘의외성’이다. 차갑고 딱딱한 것처럼 보이지만 오래전부터 살았던 것 같은 편안함, 거칠어 보이지만 왠지 모르게 따뜻함이 느껴지는 것이 인더스트리얼”이라며 “현대적이면서 의외로 빈티지가 느껴지는 반전 매력 때문에 인기가 높은 것 같다”고 말했다.

거친 스타일 선호하는 3040 남성에게 인기
 유럽에는 인더스트리얼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 많다. 옛 모습을 유지한 채 역사와 이야기를 그대로 살린 것이 특징이다. 영국 런던의 복합문화공간인 ‘와핑 프로젝트’는 19세기에 지어진 수력발전소를 개조해 만들어진 곳으로 인더스트리얼의 진수를 느끼기 위해 관광객들의 발길이 연일 이어진다.

철제 가구, 금속 조명 등을 배치한 카페 ‘안도’.

 서울 합정동에 있는 카페 ‘앤트러사이트’는 실제 신발 공장으로 운영되던 공장을 카페로 만든 곳이다. 컨베이어벨트, 공장의 철제 대문으로 만든 테이블 등 옛 공장의 분위기를 그대로 살렸다. 김평래 대표는 “처음에는 흉물스러운 공장이었다. 공장에 있던 인테리어 요소를 살리다 보니 자연스럽게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이 됐다. 오래된 공장의 느낌이 좋다며 단골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서울 한남동의 카페 ‘안도’에서는 독특한 디자인의 프랑스산 인더스트리얼 가구·소품·조명을 볼 수 있다. 이정 대표는 “자주 찾는 고객들 중 30, 40대 남성이 많다”며 “디자인에 관심을 기울이는 남성들이 늘어나면서 거칠고 남성적인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이 각광받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인더스트리얼(Industrial) 스타일=‘산
 업’ ‘공장’을 연상케 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말한다. 콘크리트를 그대로 노출시킨 바닥과 벽면, 낡은 벽돌, 금속 소품과 조명, 철제 가구 등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글=신도희 기자 toy@joongang.co.kr, 사진="신동연"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