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북 영변원자로 재가동 강력 규탄” 결의안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394호 02면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26일(현지시간) 북한의 영변 원자로 재가동 징후와 관련, 북한을 규탄하고 모든 핵 활동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위성사진으로 증거 포착 … 미 “핵·경제 병진 불가능, 김정은 이상설 정보는 없어”

 AP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IAEA는 이날 오스트리아 빈의 총회에서 “영변 5㎿급 흑연감속로의 재가동과 우라늄 농축시설 확장 등 북한이 벌이고 있는 핵 활동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IAEA는 또 “2009년 사찰요원들이 북한 당국에 의해 추방당해 북한의 원자로 가동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었다”며 “하지만 이달 초 연례보고서의 위성사진을 통해 북한이 영변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했다는 증거인 수증기와 냉각수 배출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 당국은 핵 시설을 확장하거나 재배치하는 활동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영변 흑연감속로는 최근 몇 년간 가동이 중단됐으며 2008년에는 북한 당국이 6자회담 합의사항 이행을 위해 냉각탑을 폭파하기도 했다. 그 뒤 회담이 지지부진하자 북한은 지난해 4월 핵 억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영변 핵 단지에 있는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핵무기·탄도미사일 개발과 함께 경제발전을 이루겠다는 것은 실현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국제법 및 국제사회와 약속한 합의를 지키고 한반도의 번영을 추구하는 길로 간다면 미국과 동북아 국가들은 북한 경제재건에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정은의 건강 이상설과 관련해서는 “아는 바 없다”며 “과거에도 김일성과 김정일, 김정은의 건강과 관련된 소문과 의혹들은 일종의 (상대를 압도하려는) 파워게임 양상을 보였다”고 진단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26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부 장관과 만나 북한 문제 등을 논의했다. 양국 외무장관이 만난 것은 2008년 이후 6년 만이다. 이 자리에서 윤 장관은 “이란 핵협상이 오는 11월 24일로 정해진 기한 내에 타결돼 이란이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 협상은 핵 개발을 추진하는 북한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주민생활 안정에 주력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자리프 장관은 “핵무기는 절대로 안보를 보장해주지 못하며 한반도에 핵무기가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란 정부의 분명한 입장”이라고 답했다. 또 “현재 이란은 북한과 어떤 군사적 협력관계도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이수용 북한 외무상은 27일 유엔총회 연설을 마친 후 곧바로 러시아를 방문해 한국 정부 관계자들과의 접촉은 이뤄지지 않았다.

최익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