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환경공단, 국내외서 6차례 검증 "경주 방폐장은 안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5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활성단층 논란에 대해 경주 방폐장이 안전한 시설임을 입증받았다. [사진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경주 방폐장은 법적 기준을 만족하고도 남을 안전한 시설”이라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하 원자력공단)이 밝혔다.

원자력공단 관계자는 “경주 방폐장 1단계 사업은 외국 전문가들이 안전에 필요한 수준을 뛰어넘는 과잉투자라는 지적을 할 만큼 충분히 안전한 시설”이라고 강조했다.

원자력공단에 따르면 방폐장 부지 내에 활성단층은 존재하지 않는다. 부지 내 존재하는 소규모 단층은 설계와 시공을 안전하게 마쳤다고 전했다.

원자력공단은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의 고시에서 규정하는 활성단층이 부지 내에 없음을 입증했다. 충분한 안전성 검토를 거쳐 그 결과를 토대로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은 것. 원안위 측도 방폐장 부지 내에 활성단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원자력공단은 안전한 방폐장 건설과 국민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모두 6차례에 걸쳐 국내외 전문기관의 안전성 검증을 시행했다.

원자력공단은 “환경단체가 엄연히 다른 용어인 제4기 단층과 활성단층의 정의를 임의로 혼용해 부지 내에 활성단층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특히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12-50호 12조엔 활성단층이 있더라도 보강하면 방폐장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원자력공단은 공단의 최종 목표가 전국에 산재한 중저준위 방폐물을 가장 안전한 형태로 최종 처분함으로써 국민생활의 안전과 환경보전에 이바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원자력공단은 전 임직원이 방폐장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조속히 정상운영 체계를 갖추고, 소모적인 방폐장 안전성 논란 불식과 갈등해소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경주 시민과 적극 소통하면서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경주시민들과 상생하는 다양한 협업과제를 발굴해 지역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배은나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