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국전 여는 한창조씨|79년 국전서 조각으로 대통령상 수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금까지 해왔던 작업과정을 종합 결산한다는 뜻에서 자리를 마련해봤습니다.』 작품『역사의 문』으로 마지막 관전인 제28회 국전 (79년)에서 최후의 대통령상을 수상했던 조각가 한창조씨가 파리에서 일시귀국, 작품전을 열고 있다(25일∼9월3일·선 화랑초대).
출품작은 돌과 브론즈를 재료로 최근 2년간 제작한 50여점. 이중에는 지난 6월15일 귀국이래 도봉산에서 제작한 대작도 20여점 끼어있다.
그가 지금까지 추구해온 「문」 「글」 시리즈에서 크게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대작의 경우 시선을 윗 부분에 두고 토템적 요소를 가미한 것은 새로 나타난 변모다.
『외국에 나가니까 「이것이 문이다, 글이다」하고 작품을 설명해야 되더군요. 작품은 어디까지나 그 자체가 모든 것을 말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래서 많이 고민했습니다.』 그렇지만 「가장 민족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신념으로 자신이 택한 소재를 버리지 않고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또 유럽여행에서 얻은 체험을 살려 현대보다도 원시적인 것을 표현함으로써 「인간성회복」이라는 주제를 살려나갈 생각이다.
『파리에선 거의 서너 시간밖에 자지 않고 작업했어요. 조각은 결코 거짓말을 하지 앓는다는 것을 다시 느꼈죠. 땀 흘리는 만큼 완숙해지니까요.』 지난 4윌 파리에서 열었던 개인전에서 「서정적」 이라는 평을 받았다고 전한 그는 『조각을 하다보면 마치 자신이 큰 바위에 매달린 계란 같은 느낌이 든다』면서 웃기도.
80년 도불, 현대조각의 한 거장인 「세자르」 문하에서 지도 받고 있는 그는 내년엔 이탈리아 카라나에 가서 4년간 본격적인 대리석 작업을 펼칠 계획이다.
한씨는 9월10일 출국, 파리로 돌아간다. <홍은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