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영어교육의 정상화'위해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 언제부터 적용?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교육부가 수능 영어 절대평가 체제로의 전환 계획을 공식화했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수능 영어 절대평가를 심도 있게 논의하고 큰 방향에서 그 틀을 잡고 있다”며 수능 영어 절대평가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황우여 장관은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 취지로 ‘영어교육의 정상화’를 들었다. 황우여 장관은 “과도한 사교육 시장과 수십 년에 걸친 영어 투자가 무슨 결실을 내고 무엇을 위한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의문이 생긴다”며 “영어 학자나 전문가로서 (필요한) 영어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라고 반문했다.

현재 수능 영어는 상대평가 체제로 1등급(상위 4%)을 가리기 위해 학생들이 ‘틀릴 수 있는’ 기형적인 문제를 낼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따라서 영어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본래 취지에 벗어나 ‘문제풀이 위주’로 변질됐다는 것이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을 주장하는 쪽의 의견이다.

상대평가가 학업성과를 다른 학생과 비교해 성적을 부여하는 평가방법인 데 반해 절대평가는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따라 개개인 학생의 성적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 시기는 현재 중학교 3년생이 대학에 들어가는 2018학년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중앙일보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