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성 질환」이 늘고있다|한대 유전병 상담실 집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오는 3월 개소 1년을 맞는 한양대 유전병 상담실(소장 백용균 교수)은 상담실에서 검사를 받은 1백56명중 65명에서 유전적인 문제가 있음을 밝혀내고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을 곧 학계에 발표키로 했다.
65예 중 몽고증(선천성 백치)이 15예로 전체의 23.1%를 차지하고 있으며 백혈병은 20%인 13예였다.
나타난 유전이상은 모두 15종류로 선천성 기형·자궁 이상·습관성 유산·남녀가 아닌 중성 등의 순이었으며 부인병 쪽이 많았다.
이는 1백56예 중 81예가 산부인과에서 검사의뢰를 받아 시행했기 때문으로 임신과 출산 때 유전병이 상당히 큰 문제로 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외래상담을 받은 17예 가운데에는 8예가 어린 선(어린 선-피부가 비늘처럼 갈라지는 것)이었으며 혈우병도 4건이 있었다.
이번 분석결과 나타난 유전인자의 이상은 ▲염색체의 숫자이상 30예(정상인은 46개 염색체 보유) ▲구조이상 14예 ▲끊어진 염색체 21예였다.
특히 염색체 확인과정에서 세계 최초로 1번과 19번 염색체의 위치 전환이 발견돼 주목을 끌고있다.
20대 K모 여인에서 발견된 이 염색체는 19번 염색체가 끊겨 1번 염색체와 결합되었다. 그 결과 월경불순·지문 이상 등을 가져온 것으로 백 교수는 추정했다.
한편 백 교수는『유전성 질환이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고 말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관심을 촉구했다.
단적인 예로 미국의 경우 자연유산의 36%가 유전성이며, 유아사망의 40%가 유전인자에 기인하고 결혼한 젊은 여성이라도 유전적으로 결함있는 아기를 출산한 확률이 3%라는 것이다.
또 민족에 따른 유전병도 국가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출산 1년 후 맹인이 되면서 죽어 가는 유대인의「태이-삭스」병을 예로 들었다.
유대인의 토착병인「태이-삭스」는 25명중 1명이 보인자로 보인자끼리는 결혼을 못하도록 규제 받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