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주 적극외교전개|정부 한미정상회담 성공 힘입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불편했던 관계가 해소되고 새로운 동반자관계로 맺어진 한미유대를 가일층 다지고 이를 바탕으로 대 우방외교를 강화하는 등 대외정책에서 신국면개척에 주력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주안으로 남덕우 총리와 신병현부총리 주재로 각부처관계관회의를 열어 한미정상회담에서 거둔 성과를 세밀히 분석하고 한미관계의 새로운 전개방향을 논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소식통은 9일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연례안보협의회와 한미경제협의회·정책협의회의 개최일정이 합의된데 따라 관계부처별로 이에 임할 구체적인 의제와 문제점등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하고 이를 위해 관계부처 실무자회의도 열리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당국자는 『우선 4, 5월안으로 열릴 한미연례안보협의회에서는 작년에 거론되지 않았던 한국군의 장비현대화와 이를 위한 대한 군사 판매문제, 그리고 주한미군의 「실링」증가문제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에 대비한 검토가 이루어질 것이며 양국정상들의 원칙 합의에 따라 회의가 열리면 상당한 진전도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신병현부총리는 3월로 예정된 한미경제협의회에서 양국간의 자본협력, 상계관세문제, 신발 섬유류 무역의 「쿼터」문제등 양국간의 주요 현안들이 광범하게 논의될것이라고 말하고 양국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성과는 경제 협의회등을 통해 앞으로 서서히 구체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한미정상회담에 이어 한일간의 정상회담이 언젠가는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대책도 세워 놓을 것으로 보인다.
소식통은 전두환대통령이 일본에서 정상회담을 제의할 경우 이에 응할 용의표명이 있었던 것을 상기하고 『아직 일본측에서 공식제의는 없지만 이 문제가 3월중 새 대통령 취임식을 계기로 구체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취임식에 「스즈끼」수상이 직접 참석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어쨌든 한일정상회담이 이루어질 경우 우리측은 새로운 한일관계를 정립한다는 차원에서 일측의 대북괴 접근태도에 대한 강력한 견제와 무역역조 개선등을 촉구하게 될것으로 보인다.
소식통은 또 『인도「뉴델리」에서 열리고 있는 비동맹외상회의에서 한국문제가 북한측의 집요한 공작에도 불구하고 토의대상에서 제외된 것도 올해 우리 외교여건을 밝게하는 청신호』로 『제3세계와 동구권에 대한 실질외교를 강력히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