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지사 “국토부·서울시, 광역버스 입석금지 8월내 논의하자”

중앙일보

입력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4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 국토부, 광역단체, 시·군, 운송업체 등이 함께 광역버스 입석금지제의 근본적인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학생들의 방학과 휴가철이 얼마 남지 않아 광역버스 입석금지 정책으로 인한 교통대란이 크게 우려됨에 따라, 경기도 차원의 대책 마련과 함께 근본적인 대책을 위한 관계기관의 협력을 제안하는 자리였다.

남 지사는 “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 및 교통카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7월 입석 대책에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됐다. 당초 서울방향 버스 208대 추가투입과 출근시간대 270회의 증회운행을 계획했으나, 출근길 입석 해소를 위해서는 최소 445회의 증회운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한 “버스 증회는 서울 시내 교통체증 증가와 상당한 비용이 필요해 현실적으로 445회의 증회운행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실제로 지난 16일과 23일에도 각각 당초 계획(270회)의 67%(180회)와 50%(134회) 수준의 증회 운행만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445회 증회가 된다면 일단 입석문제는 해결이 되지만 현실적으로 두 가지 문제가 있다”며 “증회된 버스가 서울로 가면서 발생될 교통체증 문제와 증회에 따른 비용문제가 그것으로 어떻게 감당할 것인지를 모두 모여 토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증회운행과 같은 단기대책을 비롯해 멀티환승센터 건립 등의 근본대책을 위해서는 관계기관 모두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 지사는 특히 “8월 말 방학과 휴가철이 끝나게 되면 더욱 큰 혼란이 예상된다”며 “입석금지는 국토부에서 시행하지만 실제 불편은 경기도민이 가장 크게 겪는다. 앞으로 10일 이내에 도 차원의 대책을 수립·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덧붙여 “철저한 데이터 분석과 투명하고 합리적인 대책으로 도민들의 안전하고 편리한 출퇴근길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