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5개년 계획 집행 조세·금융제도 개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5차경제개발계획(82∼86년)의 착수에 앞서 조세·재정·금융제도의 개선과 산업합리화의 기반조성을 완결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올해 하반기부터 82년까지의 중기대책을 마련중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관계부처실무국장급 12명으로 중기대책작업반을 구성한다.
7일의 경제장관 회의는 당면경기의 전망과 대책의 방향을 논의했는데 기관원은 경기지수의 동향으로 보아 3·4분기 이후에도 급속한 경기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고했다.
이날 회의는 부산지하철1호선 계획이 보고되었다.


5차 5개년 계획 기본지침에 대한 한국개발연구원 정책협의회에서 전문가들은 5차 계획이 분배기능의 강화, 목표에 구애되지 않는 신축적 운영, 국토이용의 합리화, 농업부문의 전략화, 「에너지」·환경정책의 강화 등을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성장과 사회개발욕구가 상치될 수 있으며 농수산부문, 중소기업의 새로운 전략화방안, 자원「에너지」절약화, 대외의존도의축소, 기업의 금융비용인하 등을 강조했다.

<건설수주 호조 올 들어 40억불>
해외건설수주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7일 건설부에 따르면 올 들어 7월말 현재 해외의 건설 수주액은 4O억「달러」로 올 연간 목표 60억「달러」의 67%에 달했으며 이 같은 추세로 보아 올해 연간 수주액은 7O억 「달러」선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수출호조로 해외파견근로자수도 현재의 11만명에서 연말까지는 13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해외건설수출이 활기를 띠게된 것은▲「오일·달러」증가로 중동지역의 개발사업이 많아졌고▲그간「인플레」로 공사단가가 올랐으며▲해외건설업체들이 국내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건설수주에 힘을 기울인 때문이다.
한편 건설수출이 시작된 66년이래 올7월말까지 수주총액은 2백60억「달러」에 이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