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가을 유엔총회서 한국문제 토의될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뉴욕=김재혁 특파원】오는 9월16일 개막되는 제35차 「유엔」총회에서 한국문제가 상정될 전망이 짙어지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지난75년 제30차 총회에서 「두개의 한국문제 결의안」이 채택된 이후 5년 동안 의제상정과 토의가 지양되었던 한반도문제를 둘러싸고 남북한이 「유엔」에서 다시 대결하게 된다. 최근 비동맹국가를 상대로 한 북한의 전에 없던 활발한 막후활동을 분석한「유엔」소식통은 북한이 18일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94개 비 동맹국가 대사급 전체회의와 아직 장소와 의제가 확정 안된 비동맹특별각료회의에서 최근의 한국 국내사태를 중점적으로 공격하여 상대국의 개입을 유도하는 등 분위기를 북한에 유리하도록 이끌어 그 여세로 「유엔」총회에서 한반도문제를 들고 나오려는 것이 북한의 목표라고 지적했다.
북한은 최근의 한국사태를 「유엔」에서 거론하는 것이 다른 어느 때보다 유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고 「유엔」소식통은 말했다.
북한은 그 동안 「유엔」을 무대로 「쿠바」「유고」등 친 북한주요비동맹국가와 접촉을 계속하는 한편 지난 9일에는 북한외상회담이 한국국내사태를 비난하는 편지를 각 비동맹 외상에게 보냈으며 비동맹 대사급 전체회의를 앞두고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8일에 개최되는 비동맹대사급 전체회의는 비동맹특별각료회의의 개최여부를 결정할 예정인데 북한은 이를 정치선전장화 시킬 전망이다.
비동맹 특별각료회의는 「유고」가 추진 중이었으나 「티토」의 사망이후 현 의장국인 「쿠바」가 그 주도권을 빼앗으려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별각료회의는 아직 장소·기간·의제 등이 결정되지 않고 있다.
한국측은 주「유엔」대표부를 포함한 전 해외공관에 비동맹국가를 상대로 한 북한의 책동을 저지하기 위한 외교활동을 펴고있으며, 만약 북한이 한반도 문제를 「유엔」으로 끌어들일 경우 의제상정 저지 혹은 별도의 결의안을 제출해 대결하게 될 것이라고 「유엔」소식통은 말했다.
75년의 제30차 「유엔」총회에서는 서방측 결의안이 찬성59, 반대 51. 기권 29로 공산측 결의안은 찬성54, 반대 43, 기권 42로 각각 통과된 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