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C 5월17일까지 인질 타결 안되면 대 이란 경제 봉쇄 단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룩셈부르크22일UPI로이터 종합】구공시 (EEC) 9개국 외상 회의는 22일 미 인질 석방을 관철시키기 위해 「이란」에 즉각 강경한 집단 제재를 가하자는 영·독 등 강경파와 제재 시기를 「이란」의회 개원 이후로 하자는 「프랑스」 등 온건파 입장을 절충, 우선 ▲외교 관계 축소 ▲신규 경협제약· 협정 금지 ▲인질 석방을 촉구하는 강경한 공동 「메시지」 전달 등 1단계 조치를 취하고 5월17일을 1차 시한으로 설정, 그때까지 인질 문제가 타결되지 않을 경우 5월31일부로 전면경제통상봉쇄를 단행키로 합의했다.
이것은 당초 미국이 요구한 ▲즉각적인 외교 관계 단절 ▲「이란」산 원유 수입 거부 등에서 훨씬 후퇴한 내용이다.「룩셈부르크」에서 이 날 열린 EEC외상 회의는 영국의 2단계 대 「이란」 제재안을 대부분 채택하여 그같이 결정했으며 비록 「이란」산 원유수입금지를 결정하지는 않았으나 「이란」의 자동적인 대EEC 석유보복금륜를 예상한 조치였다. EEC의 대「이란」 강경보복을 주도해 온 영국은 EEC의 이 같은 집단제재조치 합의와는 별도로 「이란」에 대해 독자적인 제재조치를 취하기 위해 「존· 그레이엄」 「테헤란」 주재 영국 대사를 소환하고 「이란」주재 영국인들에게 「이란」 출국을 권고했다.
「에밀리오·콜롬보」 「이탈리아」 외상이 기자 회견에서 밝힌 EEC외상 회의의 최종합의문은 대「이란」게재의 1단계 조치로 「테헤란」주재 EEC 9개국의 외교진을 축소하는 동시에EEC 각국 주재 「이란」대사관 직원의 축소를 병행하고 「이란」 국민들의 입국「비자」 발급을 제한하며 새로운 상품 및 용역계약체결을 중단한 후 오는5월17일「나폴리」에서 열릴 다음 EEC 외상 회의때까지 각 회원국의 자체입법과정을 거쳐 대대적인 경제제재조치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EEC 각국 대사들은 영국 대사를 제외하고는 전원「테헤란」에 귀임 하지 않고 있었다.
영국의 원안은 즉각적인「이란」석유수입금지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정통한 소식통들은 「장·프랑스와·퐁세」「프랑스」외상의 반대로 석유금륜조항이 빠졌다고 말했는데 영국 외상 「캐링턴」경은 대부분의 「유럽」국가들이 「이란」 원유의 높은 가격 때문에 이미 「이란」석유 수입을 중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에 이어 호주 정부도 미국에 동조하여 대「이란」윤출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식량을 제외한 군사 훈련 장비·양모·철강 및 기계류 등 호주 상품의 대「이란」수출을 전면 중단시켰으며 「테헤란」 미 대사관의 미국인 인질들이 석방될 때까지 추가 제재조치를 계속 강구해 나아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