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병충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해마다 식목일이 가까워 오면 우리는 산에 나무를 심고 가꾸는 데에 각별한 관심을 쏟아왔다.
모든 사람이 독림가가 되고 제법 애림정신에 철하려는 결의까지 하게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민들은 그날이 지나기가 무섭게 그런 결의 같은 것은 까맣게 잊은 채, 어느새 산림녹화 같은 것은 자신과는 아무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밀어버리고 심한 경우는 도벌·남벌이라는 인재까지 가하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1백억 그루의 나무를 심었으되 아직도 우거진 숲을 보기 힘든 현상이 바로 이 같은 사정을 말해주고 있다.
식목기간을 맞아 산에 나무를 꽂아두면 그것으로 할 일을 끝냈다고 손을 털어서는 산이 푸르러질 리가 없다.
끊임없이 가꾸고 정성을 쏟아야만 되는 것이다.
거기에는 과학적인 조림은 물론이고 자연의 조화를 깨치지 않는 영림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본다.
산림청의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의 병충해로부터의 산림피해는 매년 전국산림 입목 면적 6백9만2천 정보의 10%를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해마다 5백억원 이상의 돈을 들여 3억 내지 5억 그루의 나무를 심는데 비해 헐벗어가 는 면적은 그의 3내지 5배에 달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이처럼 산림의 피해면적이 조림면적 보다 넓은 것은 병충해의 극성 외에는 도·남벌, 산불 등 인위적인 가해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산림의 보호, 육림의 방향이 어떻게 펼쳐져야 하는가도 주요피해 원인을 추적하면 가능할 것이다.
각종 산림병충해의 발호가 극심해지자 산림당국은 많은 양의 살충제를 뿌려 해충을 잡았으나 그와 함께 해충의 천적인 익충까지 없애는 부작용이 있었다.
외국의 경우는 살충제 사용을 될수록 피하고, 해충을 구축하는 천적의 번식을 꾀함으로써 자연의 균형을 살리는 방법을 쓰고 있다.
우리도 화학약품을 써서 곤충을 몽땅 쓸어내는 자연 생태계 파괴 방식을 택할 것이 아니라 익충이 해충번식을 견제토록 자연의 오묘한 섭리를 살리도록 해나가야 할 것이다.
또 하나는 도·남벌, 산불 등 인재를 추방해야 한다. 지방에 따라서는 감시의 소홀을 틈타 나무를 마구 베어 넘기고 이를 거래하는 땔감나무 장까지 서는 예가 있다고 들린다.
도·남벌의 철저한 단속이 있어야 될 것이며, 보다 근본적으로는 농가의 연료 문제를 합리적으로 조정토록 하는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의 석탄생산 수준에 비추어 오지까지의 연탄공급이 여의치 않다면, 땔나무를 채취할 수 있는 간벌지역의 확대, 거리·시기의 조절로 대처해야 합 것이 아닌가.
그리고 이제는 산림녹화도 좀더 과학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경제수종의 개량·보급에 역점을 두어야 할 때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후·풍토에 알맞고 속성수이면서도 목재로서의 효용성이 높은 수종을 개발해야 한다.
한때 유실수를 적극 심도록 권장했으면서도 수확량의 수급 예측이 주먹구구여서 유실수 재배자가 적자를 내는 사례가 매우 흔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경제수종의 심기와 더불어 산림을 식량자원화 할 수 있는 계획조림이 절대로 요구된다.
전국토의 3분의2가 산이라고 하면서 그 산을 얼마나 대원의 산지로 또는 환경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이용해 왔는지 다시 한번 반성해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