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北 물밑접촉 활발… 대화 再開 모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10차 장관급 회담(4월 7일.평양)의 무산 이후 중단된 남북 당국대화의 조속한 재개에 정부가 공을 들이고 있다. 다양한 채널의 물밑접촉을 시도하는 데다 당국회담의 걸림돌이 돼온 북핵 문제가 다자대화의 틀에서 풀려나갈 분위기가 조성됐기 때문이다.

지난 2월 20일 라종일(羅鍾一) 국가안보보좌관의 베이징(北京) 접촉으로 가동된 비공개 라인은 최근 들어 부쩍 부산하다.

지난달 17일부터 평양을 다녀온 박상권(朴商權) 평화자동차 사장은 "야당이 (특검으로 대북 송금 의혹을) 밝히더라도 섭섭하게 생각말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를 전했다고 밝혔고, 방북을 마치고 12일 돌아온 김원웅 개혁국민정당 대표도 모종의 대북관련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또 이라크 전쟁과 관련한 남측의 대북 경계태세 강화 논란에 대해 북측에 막후채널로 해명한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자연스레 당국대화 재개에 대한 교감이 이뤄졌을 것이란 관측이다.

남북한이 개성공단 현지측량을 오는 21일부터 하기로 합의한 것도 지난달 말 경의선.동해선 철도궤도 연결식 무산 이후 표류해온 남북경협을 정상화해 당국대화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물론 북한이 미국 등과의 다자대화를 우선시하며 노무현 정부의 대북접근 태도를 좀 더 관망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목소리를 주도해온 한국 정부와의 '남북공조'를 평양 측이 원할 것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동국대 고유환(高有煥.북한학)교수는 "노무현 정부의 특검제 도입과 이라크 파병에 대해 북측이 불편한 감정을 느끼겠지만 당국대화를 마냥 미룰 수는 없다"며 "미국에 변화 의지를 보여주려는 측면이나 북핵 관련 다자대화의 효율성이란 점에서 남북회담에 응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