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 이전 "급하지 않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서울시가 6백여 억 원 (80년 불변가격)을 들여 새 종합청사를 서울 강남구 서초동에 옮기기로 하자 정당·사회단체·시민 등 각계각층에서 이를 보류하거나 취소하라고 반대하고 나섰다.
시청 이전계획은 벌써부터 강남 일대의 부동산투기「붐」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청사착공(81년)과 준공(83년)이 지하철 2, 3, 4호선(공사비 1조 억 원)의 건설시기와 겹쳐 시 재정은 이들 공사비 충당에 앞으로 4∼5년간 만성적자를 면할 수 없게 되 뒷골목 정비를 비롯, 상하수도·녹지환경 등 서민생활 안정과 주거환경개선에 손을 쓸 수 없게 됐다.
정당·사회단체 관계자들은 강북의 인구소산과 통일수도에 대비, 시청 이전이 불가피하다하더라도 서민생활안정이 안보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때에 이전을 강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이전비를 취로사업 등 서민생활을 뒷받침하는데 돌려쓰도록 촉구했다.
공화당은 서울시청의 강남이전 반대에 관한 당론확정을 위해 서울시 출신 의원들로 하여금 정상간 서울시장으로부터 이전계획에 관한「브리핑」을 듣고 구체적 반대 이유와 대안을 제시키로 했다.
▲공화당 - 공화당 정책위(의장 김창근)는 시청 이전반대 이유를 수집 중이며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 박경원 의원은 『서울시의 시정방향이 잘못됐다』면서 『서울시는 우선 서민대책, 대중교통난 완화, 복지후생 등 서울 시민들이 시급히 필요로 하는 분야에 신경을 써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민당 - 이댁돈 정책심의회의장은 25일 『시청 이전에 드는 비용 6백억 원의 재원이 있다면 서민들의 생계지원에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시청 이전계획을 반대했다.
정재원 임시 대변인도 『지금 서울시에는 교통문제, 취로사업 등을 통한 서민보호대책의 강구, 서민 주택난 해결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고 지적하고 당장 급하지 않은 시청 이전에 예산을 낭비하는 것은 전시행정 밖에 안 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 출신의 김수막 의원과 국회내무위의 김현규 의원도 『급하지도 않은 사업에 6백억 원이나 투입하는 것은 경제현실을 인식하지 않은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이 의장은 『정부 이양을 위한 선거관리에 역점을 두어야 할 과도 정부에서 장기적 투자와 집행이 수반되는 시정계획을 거론함으로써 과도 정부의 성격에 대한 의심과 불신의 요인이 되고있다』고 정치적인 차원의 반대이유도 제시했다.
▲한국부인회(회장 박금순) - 지난 13일 긴급임원회의를 열고 서울시청 이전을 늦출 것을 서울시에 촉구했다.
부인회는 이 건의문을 통해 외국 선진국에서도 수백 년 된 건물을 청사로 쓰고 있는데 서울시청도 보존 사용할만하고 현재의 절약생활을 하는 시민들에게 막대한 예산으로 신축해야 할 것인지 납득이 안 간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