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야인사 복권되면 3자 회담 가질 용의-김신민총재·재야인사와 정치발전논의-김공화총재 회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종비 공화당총재는 22일 재야인사를 포함하여 긴급조치에 의해 자격 제한을 받고 있는 모든 인사들을 2월중에 복권시킬 것과「올림픽」정신이 발양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완성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모스크바·올림픽」참가를 보류하도록 정부에 촉구했다.
김총재는 재야인사가 복권이 되면 정국안정을 위해 국민이 원하는 바에 따라 협력을 하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하고 정치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김영삼 신민당총재·재야인사 등이 자리를 함께 하는 3자 회담을 가질 수 있다고 밝혔다.
김총재는 이날 남산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그러나 긴급조치와 더불어 국가의 기본질서를 부정하는 이른바 반공법과 국가보안법 등을 위반한 경합범에 대해서는 신중을 기해야 하겠지만 경합범 중 일부 대학교수 등과 같이 범정이 경미하고 개전의 정이 뚜렷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사들에게는 특별한 복권을 병행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복권시기를 「2월 중」이라고 못을 박은 이유에 대해 김총재는 『그 동안 공화당이 정부측에 수차에 걸쳐 복권조치를 건의했으나 그 시기가 생각보다는 다소 천연 되는 것 같아 서둘러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해서 공개적으로 촉구하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총재는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이후 급변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지금 개헌작업을 서두르고 있고 긴급조치 해제로 구속 자들이 석방되고 제적학생들이 복학되는 등 후속조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지적,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긴급조치 등에 의해 신분상 자격이 회복되지 않은 인사들이 다수 있는데 대해 무척 마음 아프게 생각해 그 동안 정부에 누차 복권을 건의해왔다』고 말했다.
한편 개헌문제에 대해 김총재는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여당권 개헌요강의 골격을 1백80도 바꿀 수는 없지만 최종 성안까지는 시일이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융통성을 갖고 손질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