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파나마 관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미국과 「파나마」는 1903년 미국이 「콜롬비아」의 1개 주이던 「파나마」를 독립시키고 그 대가로 「파나마」독립직후 운하조약을 체결, 11년 후 「파나마」운하를 준공함으로써 77년 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이 운하조약은 미국이 「파나마」운하 지역을 장악함으로써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군사적·경제적 이익을 확보하는데 아주 중요한 것이었다.
미국은 3억8천만「달러」의 공사비를 투입하고 「파나마」정부에 일시금 1천만「달러」와 운하 조차료를 매년 25만「달러」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적 보상을 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파나마」의 민족주의세력과 학생들은 64년 운하의 완전 반환을 요구하고 운하조약의 파기를 요구하는 과격폭동을 일으켜 「파나마」와 미국의 관계는 지난 16년 동안 긴장이 계속돼왔다.
「파나마」의 운하반환요구는 미주기구(OAS) 등 남미 국들과 제3세계국가들의 절대적 지지를 얻었다.
이로 인해 미국은 「유엔」에서는 물론 운하문제로 많은 곤혹을 치러 왔다. 그 결과 「카터」대통령의 대통령 선거공약이 새로운 운하조약 체결이었다.
서기 2천년에 반환하기로 한 새로운 조약은 그 첫 단계로 79년 10월1일부터 운하지역에 77년 간 휘날리던 성조기를 영원히 내리게 된 것이다.
미국은 그동안 운하지역에 1만2천명의 미군을 주둔시켜 왔었다.
그러나 이 같은 미·「파나마」의 정치적 관계 못지 않게 미국자본의 「파나마」침투도 규모가 적지 않다.
현재 「파나마」의 주산물인 「바나나」재배의 대다수가 미국자본에 의해 운영되고 있고 국방 역시 미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 같은 「파나마」가 미국의 「팔레비」입국에 관한 요청을 거부할 수 없었던 중요한 관계였던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