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간 기다렸는데…" 입석금지 첫날 출근길 대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출근은 할 수 있게 해줘야 할 거 아니에요. 몇 명이라도 타고 갑시다.”

“한 시간 기다렸어요. 진작 대비할 것이지 매일 이러면 직장인들 어떻게 합니까."

광역버스 입석 승차가 금지된 첫날인 16일 오전 7시 경기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의 버스정류장.
버스를 기다리고 있던 있던 시민 10여 명이 사당역으로 가는 붉은색 7780번 광역버스가 다가올 때마다 우르르 몰리면서 정류장은 아수라장이 됐다.

하지만 ‘7월 16일부터 광역버스 입석금지가 전면 시행됩니다’라는 팻말을 달고 있는 버스는 멈추지 않고 속도를 올려 정류장을 빠져나갔다.
이목동 정류장이 수원 최북단에 위치해 있어 수원 시내를 거치면서 만석이 된 버스만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날 오전 7시부터 8시까지 7780번 버스 13대가 이목동 정류장에 도착했지만 한 명도 승객을 태우지 못했다.
한시간 동안 이런 일이 반복되자 인내심이 바닥난 시민들은 버스를 손으로 세우려하거나 버스를 쾅쾅치며 욕을 하기도 했다. 일부 시민들은 20~30분 기다리다가 성균관대역 전철역으로 발길을 옮기기도 했다.

기다리던 승객들이 겨우 버스에 탑승한 것은 오전 8시 3분이 다 되어서였다. 좌석이 남은 버스에 3명을 태울 수 있었다. 다음 버스는 또다시 만석이었다. 기자는 약 한 시간 반을 기다려 오전 8시 26 분쯤에야 버스를 탔다. 그것도 혼란이 극심해지자 현장에 나온 공무원이 어쩔 수 없이 입석을 허용한 버스였다.

버스기사 윤모(45)씨는 “승객들 원성이 하도 커서 정거장에 나와 있던 수원시 공무원이 어쩔 수 없다며 입석으로 태우라고 허락하더라”며 “운행 버스를 늘리면 뭐하나 근본적으로 출근하려는 수요가 지탱이 안되는데, 안전도 중요하지만 지속될 수 없는 정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 성동구 용답동으로 출근하는 회사원 박모(32)씨 “출퇴근 수단이 이 버스밖에 없는데 좌석 없다고 안 태우고 가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정부는 이런 시민들 현실을 알고 정책을 만들었는지 의문”이라고 불만을 표시했다.

수도권 곳곳에서 출근길 입석 금지로 인한 대혼란이 빚어졌다. 정부와 버스회사가 혼란을 예상해 배차간격을 줄이고, 종점이 아닌 중간 지점부터 출발하는 버스를 운행하는 대책을 내놨지만 소용이 없었다.

그러다 보니 입석을 허용하는 편법이 부활한 곳도 적지 않았다. 오전 8시경이 되자 분당 이매촌 한신아파트 정류장에서 KD그룹 소속 버스 기사 김현식(58)씨는 “시행 첫날이니 상황 보고 유동성 있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며 “이 정도는 더 타셔도 된다”며 5~6명씩 초과 승차를 허용했다. 강남행 1151번 운행하는 한 버스 기사는 “광주에서부터 오는 차라 어쩔 수가 없다”며 “오늘은 첫날이니까 홍보기간이라 그렇고 이제 앞으로는 입석하면 안된다”고 말하며 30여 명을 더 태웠다.

정부와 버스회사의 대처에 대해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다. 한 40대 회사원은 “정부가 버스를 늘렸다고 하는데 명동 가는 버스는 저렇게 텅텅 비어 있고 한남동 가는 사람들은 모두 기다리고 있었다"며 “승객 수요는 생각도 하지 않고 필요없는 버스만 늘린 것만 봐도 얼마나 준비가 안됐는지 알 수 있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분당 새마을연수원 정거장에서 7시 30분부터 15분간 버스를 기다렸지만 탑승할 수 없어 15분간 걸어 서현역으로 왔는데 여기서도 버스가 없어 기다리던 중이었다. 서현역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회사원 박준혁(39)씨는 “한남동에서 갈아타고 남산까지 가야 하는데 해당 버스는 전멸”이라며 “한남대교를 건너기 전에 내리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제 어떻게 출퇴근해야 할지 걱정이다”라고 말했다.

이상화·이승호·민경원 기자 sh9989@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