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대사증후군 환자, 혈중지질 제대로 관리 안 하면 동맥경화 ‘빨간불’

중앙일보

입력

강북삼성병원 순환기내과
김병진 교수

직장인 가운데는 유난히 배만 볼록 나온 복부비만 체형을 흔히 볼 수 있다. 복부에 내장지방이 많아지면 지방 세포에서 나오는 지방산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고,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성인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혈당, 중성지방 수치, 고밀도 콜레스테롤 등이 동시에 정상 수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대사증후군이 올 수도 있다.

대사증후군은 심근경색, 뇌경색 등 심뇌혈관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기 때문에, 평소 정기검진을 통해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체크하고 LDL(저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 요소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LDL-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질환의 위험도 역시 비례해서 높아진다. 그래서 대사증후군 환자는 콜레스테롤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면 작고 치밀한 LDL 입자(small dense LDL)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혈관 내피세포로 더 잘 침투하고 혈관에 죽종을 일으켜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LDL의 입자 크기가 작아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LDL-콜레스테롤의 양을 보는 수치는 그렇게 높지 않은 경향이 있어 이러한 환자들은 동맥경화가 일어나기 전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더욱 적극적으로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

대사증후군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 예측을 위해서는 LDL 콜레스테롤 수치와 함께 아포비(ApoB) 단백 수치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중성지방 수치가 많이 올라가 있는 대사증후군 환자의 경우 LDL 콜레스테롤 수치만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을 측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LDL 콜레스테롤 수치뿐 아니라 아포비 단백 수치도 보조적으로 측정해 보면 심혈관질환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하나의 LDL입자에는 하나의 아포비 단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수치를 검사하면 LDL의 정확한 입자 수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검사를 통해 본인의 상태를 파악했다면, 빨리 치료에 나서야 한다. 대사증후군은 여러 질환이 한꺼번에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 개인마다 다른 상황에 따른 치료적인 접근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대사증후군 환자의 경우 몸에서 콜레스테롤을 더 잘 흡수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혈중 지질 관리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중성지방이 높은 대사증후군 환자는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흡수를 모두 잘 차단할 수 있는 치료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약 80%가 합성되고 20% 정도는 음식을 통해 소장에서 흡수된다. 때문에 혈중 지질이 높은 환자는 만들어지는 콜레스테롤과 흡수되는 콜레스테롤 모두를 관리하는 이중 억제 치료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여러 가지 위험 요인을 한 번에 가지고 있는 대사증후군 환자는 혈중 지질 관리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의사와 상담을 통해 본인이 앓고 있는 질환의 특성에 맞는 치료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본 칼럼은 외부 필진에 의해 작성된 칼럼으로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