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제·회기 놓고 이견|임시국회, 7월중 소집원칙만 확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여야는 7일상오 총무회담을 열고 임시국회 소집시기 의제·회기 등에 관해 논의했으나 의견이 엇갈려 구체적 합의를 보지 못하고 7월중 임시국회를 소집한다는 원칙만 확인했다.

<여야총무회담>
황낙주신민당총무는 임시국회의 즉각 소집을 요구하면서 『여당측이 3당국회의에 대한 북괴 반응을 이유로 임시국회를 지연시키거나 또는 기피하려하고 있지만 신민당은 오히려「카터」방한결과 등을 논의하기 위해서라도 국회를 조속히 소집해야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여당측은 「카터」대통령의 방한결과에 따른 후속조치와 북한측의 반응 등을 고려, 18일 이후 소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회기를 10일 정도로 잡고 있다고 제시했다.
여당의 한 고위간부는 국회소집시기와 관련, 『오는 16일「말레이시아」수상의 공식방한,17일께로 예정된 「카터」미대통령의 철군관계 발표 및 정부의 유가조정에 따른 경제시책 발표 등이 국회소집일자의 결정과 관련돼 있다』고 말하고 『오는 20일 전후에 임시국회가 소집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현오봉공화당총무는 임시국회에서「정치」문제를 단독의제로 하는 것은 부자연스럽다고지적하고 의제를 ▲안보·외교 ▲경제·사회로 묶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신민당의 황송무는 회기가 적어도 2주 이상 돼야하며 의제는 ▲정치 ▲경제 ▲사회 ▲안보·외교 등 4가지로 세분하여 대정부 질문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석총무는 임시국회에서 신민당이 민주회복·인권문제·언론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임할 것이라면서 집중적 추궁과 직접적 폭로를 통해 하나의 문제라도 뿌리를 뽑아 매듭을 지어가는 방법으로 투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민당은 정치문제에 있어서 ▲긴급조치의 해제 ▲구속인사 석방 ▲인권문제 등을 주로 다루고 경제문제에 있어서는 ▲물가 ▲긴축재정의 부작용 ▲기업도산 및 부도사태 ▲농수산물의 과다수입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키로 했다.
한편 3당국회의 등 외교문제에 관한 행정부의 북경실명제의에 대해 황총무는 야당 당수에게 단독으로 보고해달라고 요구했고 여당측은 이를 행정부에 통보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