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왕정 1연만에 민주화됐지만|민정·회교세 반목해소 안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해설>「팔레비」국왕의 출국은 「바크티아르」현수상의 현정국수습을 돕는다는 점과 친왕「쿠데타」를 사전에 막는다는 「팔레비」의 명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이란」 헌법상의 절차로 나타난 것이「바크티아르」가 주도하는 9인섭정회의다. 섭정회의는 「팔레비」없는 왕정을 대신하는 기구로서 원칙적으로는 현내각의 우위에서 정치를 주도하는 것이지만 「바크티아르」는 일종의 자문기구로서 권한을 축소시킬 생각을 갖고있다.
이것은 형식상 왕가정치의 존속이나 실질적으로는 왕정의 정기 내지 정식을 의미하는 것이다.
골수야당출신의 「바크티아르」수상은 정국수습의 제1차조치로 「팔레비」의 출국을 요구했고 이어 「이란」의 민주화내지 자유화를 선언했다. 그는 또 반정회교도들에 대한 미소정책의 하나로 친미일변도 정책에서 대소관계개선의사를 밝히면서 「호메이니」등 회교지도자들이 내세우는 대「이스라엘」남 「아프리카」 공화국에 대한 석유공급 중단조치를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바크티아르」의 자유주의적 조치는 미국의 강력한 영향을 받아온 군부의 불만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군부「쿠데타」가능성은 현재 공공연히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앞으로 문제의 초점은 「호메이니」와 「바크티아르」 세력간의 싸움이다.「팔레비」 왕정의 종말이 야망정치세력과 회교세력의「합작품」이라면 그 결과를 놓고 어제의 동지가 치열한권력싸움을 벌이게 될 것이 거의 확실하기 때문이다.【진창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