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산업 계속 육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수출 주종산업인 섬유산업의 사양화를 막고 앞으로도 계속 수출의 큰 몫을 맡도록 하기 위해 특별조치법을 마련할 방침이다.
최각규 상공부 장관은 13일 하오 상공부 회의실에서 업종별 수출대책 본부장 회의를 열고 각 업계로부터 애로사항 및 건의를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최 장관은 국내 섬유산업이 증가하는 해외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시설의 근대화 및 확대를 뒷받침하도록 「섬유산업의 구조개선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최 장관은 수출업계의 시설투자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내년도 외화 대부규모를 금년보다 더 늘려서 연초부터 집행되도록 계획을 금년 말까지 조기 확정짓겠다고 말했다.
올해 외화대부규모는 13억「달러」인데 이미 소진됐으며 내년에는 15억「달러」이상으로 늘릴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 업계대표들은 ▲전자제품·합판·신발류 등 일부 품목의 내수가격을 현실화해 줄 것 ▲신발류 업계 등의 기능공 「스카웃」대책을 세울 것 ▲원자재확보를 위해 수입비율을 높이고 관세를 인하할 것 ▲국내 원료「메이커」들이 새로운 소재를 개발·공급하도록 할 것 ▲시설개선 및 확충을 위한 지원을 할 것 등을 건의했다.
합의에는 18개 업종의 수출조합 대표와 무협 및 중소기업중앙회 대표가 참석했다..
각 업종별 대표들은 홀치기 등 일부업종을 제외하고는 올해 수출목표달성은 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