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만 올린 아파트정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건설부는 주택난 해소책으로 51개 주택건설 지정업자를 선정, 연간 1천 가구 이상씩「아파트」등 밀집주택을 의무적으로 짓도록 하고있으나 택지대책이 뒷받침되지 못하여 업자들이 한꺼번에 택지매입에 나서 땅값만 올려놓고 서울에서 택지를 못 구해「아파트·붐」이 지방으로 확산되고있다.
15일 건설부와 주요주택지정업자에 따르면 조사대상 20개사 중「아파트」건설계획에 따른 택지를 완전히 확보하고있는 업체는 한양·현대·한보 등 3개사 뿐이고 나머지 업체 17개사는 지난 6월10일부터 내년 6월10일 사이 연간 1천 가구 분의「아파트」건설용 택지 일부만을 확보한 채 택지난에 부딪치고있다.
한양 등 이미 택지를 확보하고있는 3개사는 지정업자 선정 이전에 이미 택지를 확보 한 것인데 기타업체는 지난10일까지 건설부에「아파트」건설계획을 제출하고 택지물색에 나섰으나 「아파트」적지여부·수익성 등을 감안한 택지가 극히 부족한데다 일시에 지정업자들이 택지구입에 나서 서울·지방 할 것 없이 땅값만 올려놓았다.
이 때문에 건설부는 지난10일까지 주택지정업자들의「아파트」건설계획을 제출 받았으나 업자들 대부분이「아파트」건설 예정지 등을 명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택지 난에 부딪치고있는 D개발·K건설의 경우 서울은 물론 안양·부산 등 지방에까지 직원을 동원, 택지를 물색중이나『지정업자들의 경합이 심해 터무니없이 땅값이 올라 수익성을 감안할 때 매입할 수 없는 땅 뿐』이라고 밝혔다..
건설부는 주택지정업자들이 내년 상반기까지 5만여 가구의「아파트」를 공급케 할 계획이나 이 같은 택지난으로 그 계획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
지정업자들은「아파트」1천 가구 이상 건설의무를 이행하려면 정부에서「주택의 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른「아파트」적지에 대한 토지 수용권 발동이나「아파트」지구의 대폭 추가지정 또는 일부「그린벨트」완화 등 행정적인 뒷받침을 요망하고있다.
한편 이 같은 추세를 반영, 「아파트·붐」이 지방으로 확산하여 삼익토건이 14일 마감한 부천시 송래동「아파트」(4백97가구) 의 경우 평균 4.5대1의 경쟁율을 보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