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번에는 교통요금과 정부미 방출가격의 인상조정에 그쳤지만 전기·석탄요금과 철강재 등 공산품의 가격인상이 대기상태이고 조만간 현실화시켜주지 않으면 안될 처지다.
가뜩이나 불안한 물가는 고삐 풀린 망아지처럼 뛰게 생겼다.
정부는 이번 인상조치로 물가에 미치는 직접적인 파급효과를 도매 0.3%, 소비자 1.7%밖에 안 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것이 기폭제가 되어 미치게될 간접적인 효과까지 합치면 훨씬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미 5월말로 도매물가 5.9%, 소비자물가는 7.3% 올랐기 때문에 정부발표를 그대로 따르더라도 소비자물가는 9%로 껑충 뛰어 오르는 셈이다.
여기에다 앞으로 전기·석탄·공산품의 가격인상까지 겹치면 올해 물가억제 10%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지난 74, 75년의 물가폭등 (도매42.1% 및 26.2%)은 원유 값의 4배 인상이라는 해외 요인 때문이라고 원인을 돌려버릴 수 있었으나 올해의 물가폭등은 전부가 국내적인 요인에서 비롯됐다는데 문제가 있다.
예컨대 작년 10월에 올렸던 시내버스 요금을 8개월만에 25%나 대폭 인상한 것이라든지 작년 한 햇 동안에 77.2%, 특히 작년 말에 33.2%나 올렸던 석탄 및 연탄 값을 또 다시 올려줘야 할 상황이 된 것은 정책 빈곤 내지 실패 이외는 설명할 길이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