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중가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신록 속에 단오를 맞는다. 정말 고마운 비까지 내려 신록, 우리의 마음도 도무지 신선하기만 하다. 생명의 약동을 보는 것만 같다.
옛 사람들은 1, 3, 5, 7, 9의 기수를 양수라고 했다. 이 양수가 겹치는 날들이 대개 명절인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3월3일, 5월5일, 9월9일. 이런 날들은 인생의 생기와 활력이 넘친 날로 생각했다.
그 가운데서도 5월5일은 일년 중에 양기가 가장 왕성한 때다. 이 날을 천중가절이라고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단오」란 말은 중국에서 유래했다. 「단」은 「처음」이란 뜻. 「오」는 5월을 「오월」 이라고 하듯이 5와 상통. 단오는 따라서「첫 5일」의 뜻이 된다. 연중 「첫 5일」은 한둘이 아니지만, 육당(최남선)의 설명을 따르면 그 중에서도 으뜸이 될만한 날이 5월5일.
선인들은 양기가 드센 날을 불길하게 여겼다. 9월9일·5월5일은 오히려 액일로 알고 사귀를 물리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관상감에서 이날이 되면 주사로 천중적부라는 부적을 박아 문 위에 붙인 것도 그런 뜻이다.
이즈음의 삭막한 세속에선 다 잊혀진 일들이지만 옛 단오절의 풍류는 그게 아니었다. 사람들은 저마다 부채(선)를 만들어 친지에게 선사도 하고, 나라에 진상도 했다. 그 부채에 그려진 산수화는 가풍과 인품을 뽐내 보이는 본보기로 삼을 수도 있었다.
내의원에서는 재액을 물리치는 뜻으로 옥추단이라는 것도 만들어 나누어주었다. 그것을 5색실로 엮어 팔에 매면 귀신이나 병화가 물러간다는 것이다.
단오절의 명물은 창포나 쑥 등 양기가 높은 풀들.
소녀들은 그 창포 삶은 물에 목욕을 하고 청홍의 새 옷을 입었다.
부녀자들도 마찬가지. 쑥으로 만든 노리개를 차고 다니기도 한다.
절식으로는 수리치떡과 앵도화채를 빼놓을 수 없다. 「수릿날」이라는 명칭은 수리치떡에서 비롯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떡의 모양이 수레바퀴 같아서 수렛날이라고도 한다. 마침 앵도가 한창일 무렵이어서 그것으로 만든 화채의 새콤한 향기는 더 한층 기분을 돋운다.
그네뛰기의 풍속 또한 이 날의 풍류이다. 옛 사람들은 몸을 유연하게 만드는 운동의 하나로 이 그네뛰기를 생각해 냈던 것 같다. 삼국시대부터 성했던 풍속이다.
남자들의 씨름도 늠름하고 장쾌해 볼만하다.
『향촌의 아녀들아, 추천(그네)을 말려니와/청홍상 창포비녀 가절을 허질마소/ (중략) 상천이 지인 하사 유연이 작운하니/때 미쳐 오는 비를 뉘 능히 막을소냐/』(농가월령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