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제시해 오면 연구 정부 전화· 서신통한 협조엔 불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동조 전주미대사의 미의회증언문제와 관련, 상반된 주장으로 팽팽히 맞서왔던 한미양국온 「리언·재워스키」 미하원윤리위특별고문이 6일 (현지시간) 김용직 주미대사와의 3차회담에서 종래의 「선서나 확인증어」 주장을 철회함에 따라 조만간 새로운 타협점에 도달하게 될 것 같다.
정부소식통은 7일『「재워스키」의 양보에도 불구하고 「전화나 서한을 통한 협조」라는 우리측 기본입장은 변화가 없다』고 말하고 『그러나 미측이 앞으로 「적절한 대안」을 제시한다면 양국간의 우호관계를 고려, 이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함으로써 우리측 입장에 융통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이 소식통은 『앞으로 김 대사와 「재워스키」 고문간의 협상이 미국무성의 중재아래 계속될 것』이라고 말하고 『늦어도 미의회가 하기휴회에 들어가는 7월이전엔 원만한 타결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소식통은 그러나 어떠한 타협안이 마련된다 하더라도 『「비」 협약에 명시된 외교관면책특권 보장이라는 기본원칙은 반드시 고수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따라서 조사적 성격을 떤 방법은 일체 고려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관측통들은 미측이 제안해올 절충안으로 한국에서 김씨가 미의회관계자와 면담하는 방안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보고있으나 이 경우에도 미측의 「신빙성을 확인하는 상응한 방법」 과 우리측의 「조사성격배제」라는 입장이 맞서 다소의 진통이 예상되는 것으로 보고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