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문서로 해명 요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박동진 외무장관은 12일 외무위 답변을 통해 미 정부로부터 청와대 도청 장치를 했다는 「포터」 전대사의 발언을 부인하는 내용의 공식적 해명을 구두로 받은 사실이 있으나 전직 대사의 발설은 신문 보도와는 성격이 다르므로 경솔히 취급할 수 없다고 판단, 구두 아닌 문서로 명백히 해명해 주도록 현재 미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현재 국민 감정이 크게 자극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문제가 한미간의 새로운 마찰의 불씨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엄중한 항의를 전달하는 한편 책임 있고 성의 있는 해명을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터」 전 대사의 소환 문제에 대해 박 장관은 『우리나라가 외교관의 면책특권을 규정한 「빈」협약의 당사국이기 때문에 전직 외교관의 소환은 불가능하다』고 답변하고 금주 미대사의 소환 증언도 『피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철군 보완 조치의 하나로 돼 있는 8억「달러」무기 이양이 미 의회에서 부분 통과되거나 통과가 늦어지거나 안될 경우 한미안보협의회의 합의 사항을 수정할 것인가』라는 이철승 의원(신민) 보충 질의에 대해 『합의된 철군 계획의 변동이 필요하면 양국 정부는 긴밀히 협의해야 할 것이며 미국에서 열릴 금년 안보 협의회에서 당연히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박동선에 대한 국내 조사 여부에 대해 『한미간에 이 문제가 일단락 된 후에는 국내법 하에서 책임 기관이 법에 따라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방제 문제에 관해 박 장관은 『불합리하고 비현실적인 방안이므로 받아들일 수도 없고 고려할 수도 없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박 장관은 또 미국측의 김동조 전 주미 대사의 증언 요구 문제와 관련, 『정부의 기본 입장은 조사 기능에 해당하는 어떤 행위에도 일체 응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 장관은 3자 회담에 관해 『지난해 「티토」 유고 대통령의 「카터」 미대통령과의 회담에서 3자 회담의 가능성에 관해 논의가 있었던 사실이 밝혀져 미국측에 문의해 본 결과 회담 목적 및 추진 방법 등에 관한 명백한 해명을 회답 받지 못해 공식 제의가 없었던 것으로 해석했다』고 말고 『한반도 통일 문제는 휴전 당사자 회의 개최가 현실적이고 생산적인데 비해 3자 회담은 한국 문제 해결에 생산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근거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