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6정유」 81년까지 건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앞으로 기존 국내 정유 3사의 정유 처리시설능력을 현 수준에서 동결시키고 제5정유와 6정유회사를 81년까지 세워 신규수요에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
새로 건설되는 경유회사는 메이저(국제석유재벌)의 지배를 받지 않는 산유국과의 직접 합작투자방식에 의해 늦어도 금년 안으로 실수요자를 선정, 착공토록 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따라 국내 정유회사들은 현재 진행중인 확장공사가 끝나는 ▲유공 28만「배럴」 ▲호남정유 23만「배럴」 ▲경인에너지 6만「배럴」 선에서 시설확장이 일단 정지된다.
정부는 정유산업이 막대한 시설투자에 비해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국내 대기업들이 참여를 꺼리고 있는 점을 감안, 제5, 6정유의 실수요자로 선정된 기업에 대해서는 비교적 수익성이 높은 석유화학계열공장의 신규 설립 허가 때에 최우선권을 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동자부는 현재의 추세대로 나갈 경우 81년에는 일산 15만「배럴」의 정유처리시설능력이 부족하게 될 것으로 추정하고 공장건설에 3년이 소요되므로 늦어도 금년 중에는 실수요자선정이 끝나 건설준비에 착수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동자부는 금년 중으로 완공되는 한·「이」석유(제4정유)의 6만「배럴」을 합쳐도 국내 정유처리시설능력이 64만「배럴」(극동 셸의 1만「배럴」포함)에 불과하여 연10%가 넘는 국내수요증가를 감당치 못할 뿐 아니라 연평균 현재 90%가 넘는 정유회사들의 가동률을 적정수준인 70∼80%선으로 유지시키려면 정유시설의 계속 확충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정유사업의 경우 기존공장을 확충하는 것이 신규 설립보다 훨씬 건설단가나 「배럴」당 정제비용 면에서 경제적인데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같이 산유국과의 합작투자에 의한 정유공장들을 신설키로 결정한 것은 우리나라 정유산업이 외국자본의 영향력아래 놓여있어 원유도입선의 다변화와 도입방식의 다양화를 기하는데 저해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민족자본」에 의한 정유기업을 계속 육성시킴으로써 원유공급의 안정성을 제고시키는 동시에 기존업체와의 상호견제가 가능할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외국자본에 의한 일방적인 의존도를 점차 축소시켜 나갈 방침인것으로 전해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