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 시범사업, '원격자문-의사환자간' 투트랙 필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 이명희 회장

"원격의료는 오진 가능성이 높아 국민건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제도다. 강력히 반대한다"

대한개원내과의사회 이명희 신임회장이 정부의 원격의료 추진에 대한 반대입장을 명확히 했다. 현재 행해지는 대리처방으로도 원격진료의 위험성은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6개월의 졸속적인 원격진료 시범사업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반대 이유에 대해 "현재 만성질환자에서 보호자 대리처방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는 환자의 사정에 의한 편법적이고 권장할 수 없는 진료형태"라며 "이는 부정확하고 위험한 진료다. 원격진료는 이를 양성화하고 조장하기 때문"이라고 못박았다.

대신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2가지 방식(Two Track)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원격자문이나 원격 상담과 의사-환자간 원격진료를 구분해 추진해야 한다는 것.

원격자문, 원격상담, E모니터링(E-monitoring)은 6개월 간 시범사업으로 안전성·유효성을 검증하되 의사-환자간 원격의료는 보다 면밀하고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 회장은 "의사-환자간 원격의료는 먼저 1~2년 동안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6개월~1년의 평가기간이 필요하다"며 "대면진료와 원격의료간 안전성·유효성 비교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사-환자간 원격의료 시범사업은 정부가 제시한 6개월이 아닌 최소 3년은 필요하다는 얘기다.

원격의료대상 질환 외에 다른 질환 발생에 대한 안정성을 검증하고 IT에 능숙하지 않은 환자도 시범사업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점도 조건으로 내걸었다.

이 회장은 이와 관련 "의료계와 정부 모두 원격의료와 그 시범사업의 세부적인 사항은 전혀 준비가 돼 있지 않다"면서 "정부 안에서 원격의료의 주요 대상인 만성질환의 경우 그 안전성·유효성·비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치밀한 시범사업 구조 고안을 위한 준비기간과 장기간의 관찰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충분한 기간의 시범사업과 준비 없이 원격의료가 추진될 경우 원격의료 시범사업에 협조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최소한의, 당연한 기본조건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원격의료 시범사업에 협조할 수 없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해서는 현재의 관리시스템인 'HERIS'를 개선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HERIS는 개원내과의사회와 한국MSD가 공동으로 일차 의료기관에서의 만성질환 관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2012년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의료진이 HERIS에 환자 정보와 문진·임상정보를 입력하면 환자의 질환 판정 및 위험도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제공받는 시스템이다. 특히 HERIS는 분석된 결과를 도표와 차트로 제공해 환자의 위험도에 대한 체계적인 사전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 회장은 "이번에 업그레이드 된 HERIS는 기존 진료환경에서 사용하는 전자차트에 환자정보 및 문진 데이터를 입력하면 별도의 입력과정 없이 한번에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며 "환자의 복용 약제 정보 등록 기능이 강화돼 의료진이 만성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를 고려해 약제 처방, 생활습관 교정에 대한 교육이 가능해 졌다"고 설명했다.

[인기기사]

·동네의원 하루에 4곳 ‘폐업’, 개원가 현실 어쩌다가… [2014/04/28] 
·의협 대의원회 ‘원격진료 반대’ 천명…시범사업 향방은? [2014/04/28] 
·[본들] 무늬만 제약사에 움찔하는 제약업계 [2014/04/28]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