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다이빙벨 실효성 두고 계속되는 논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세월호 침몰 현장에 ‘다이빙벨(잠수종)’ 투입 실효성을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황대식 한국해양구조협회 본부장은 21일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 전화인터뷰에서 “이론적으로는 투입할 수 있지만 현장의 조류가 워낙 세고 탁도가 높기 때문에 부피가 큰 다이빙벨을 선체 내부에 넣지는 못한다”고 부정적인 의견을 내놨다.

황 본부장은 “다이빙벨은 다이버에 의한 수색 구조 방법을 사용하면서 후차적으로 필요하고 효과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다이버들이 안전하게 오랜시간 동안 수색 구조를 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려할 때 그것을 설치하기 위해 수색 구조 활동을 놓칠 순 없다”고 밝혔다.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는 18일 JTBC ‘뉴스9’ 손석희 앵커와 인터뷰에서 “제가 지난 2000년도에 제작한 다이빙벨은 유속에 상관없이 20시간 정도 연속 작업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다이빙벨을 활용하면 (교대로) 20시간 연속 작업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종인 대표가 투입을 주장한 다이빙벨은 크레인에 매달아 물속으로 집어넣고 바닥까지 내려 엘리베이터 통로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종인씨가 보유한 다이빙벨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