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환 7국 경제 정상회담|「인플레」없는 번영 추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각국경제의 상호 의존성이 극도로 높아진 오늘날의 국제경제 체제에서 서방 경제가「인플레」없는 지속적 번영을 이룩하기 위해선 각국간의 정책 협조가 무엇보다도 긴요하다.
특히 서방경제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미·EEC·일본의 공동 보조 없이는 경기회복도「인플레」수속도 불가능하다. 이제 서방 경제는 한배에 탄 운명이기 때문에 어느 한나라만의 번영이나 안정은 기대할 수 없다.
지난 2년 동안의 극심한「인플레」속의 불황이 국제적 정책협조의 미비에서 온 바가 크다. 선진대국의 수상들도 이를 깊이 느낀 것 같다. 또 이 통에 심한 고통을 당한 개발도상국이나 다른 공업국들도 경제대국의 실무와 행동에 대해 깊은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작년 10월「파리」교외에서 열린「랑부이에」정상회담이 큰 성과를 거두자 다시「상환」7개국 회담이 준비 된 것이다.
꼭「랑부이에」정상 회담 때문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서방경제는 작년10월 이후 급속한 회복「템포」를 보여 최근 들어선 이대로 가다간 과열로 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까지 낳고 있다. 경제대국 수뇌가 모여 배타적 정책추구의 포기와 정책 협조를 다짐했다는 것만으로도 경기 회복에 큰 자극요인이 될 것은 틀림없다.
사실 6개국 정상들의 합의에 따라 각국은 서방경제의「인플레」없는 번영을 위한 공동 목표를 향해 꾸준히 노력했으며 이는 경제적·심리적으로 좋은 효과를 거둔 것은 틀림없다.
각국의 경기회복 속도가 생각보다 훨씬 빨라져 미국은 연초에 76년 성장률을 6%선으로 예상했던 것이 7%선을 넘을 전망이며 서독은 10%선을 돌파할지도 모른다는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일본·「프랑스」·영국 등도 그런 대로 착실한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 회복「템포」가 예상보다 빨라지면 당연히 대두되는 문제가「인플레」의 재연, 석유파동 후 지난 2년 동안 극심한「인플레」에 시달려온 각국은「인플레」의 재연에 대해선 거의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실 자금인상 압력에 따른「코스트·푸쉬」와 수요 급증으로 인한「인플레」가 고개를 들고 있다. 벌써 서독을 제외한 EEC제국에선 금년 들어 물가상승율이 연10%선으로 내려가는 듯 하더니 최근 들어선 다시 12%선으로 올라가고 있다.
그런데 지난 2년 동안에 경험한 바와 같이 한 나라의「인플레」는 다른 나라에 즉각 전파되게 마련이다. 따라서「인플레」수속은 전염병 대책과 마찬가지로 공동 대책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이번「상환」정상 회담은 경기회복에 동반한 부제격인「인플레」의 대두를 세계 각국이 어떻게 공동보조로 대처하느냐가 초점이 될 것이다.
이는 서방경제의「인플레」없는 지속 성장을 위해서 경제대국이 어떤 협조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귀결된다. 이번 정상회담엔 작년 10월「랑부이에」회담 때 모였던 미·영·불·서독·일본·「이탈리아」외에「캐나다」수상이 초청됐다. 서방 경제의 주축인 이들 7개국 수뇌들이 모인다고 해서 당장 어떤 묘책이 나올 수는 없겠지만 이들이 함께 모여 서방 경제의 당면 과제인 경기와 물가문제에 대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공동보조를 논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뜻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상환」의 정상회담이 시기적으로 보아 경제적 동기보다 정치적 위기를 느끼고 있는 미「포드」대통령, 일본의「미끼」수상, 서독의「슈미트」수상 등이 국내 대책용으로 벌이는 정치「쇼」라는 비판도 없지 않다. <최우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