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한 AEO MRA 전면시행, 칭다오 99개 기업에 혜택

중앙일보

입력

[<인민일보> 04월 03일 02면] 4월 1일부터 중국과 한국 양국 해관(세관)이 AEO기업의 통관 간소화를 정식으로 상호인증(MRA)함에 따라 양국의 세관은 상대국 AEO기업의 수입화물에 대해 수입화물리스트 심사 간소화 등 통관 간소화 조치를 상호 실시하게 된다. 이 조치의 시행으로 인해 칭다오(靑島)와 한국의 무역활동은 한층 더 촉진될 것이며, 현재 칭다오에 소재하는 99개 AA기업이 혜택을 입을 것으로 관측된다. AEO는 ‘인증을 통과한 경영자’로 세계관세기구(WCO)가 세관과 비즈니스계 간에 협력동반자관계를 구축하여 무역안전과 간소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이다. 최근 중국 세관은 AEO제도와 국내 기업 분류관리제도의 매칭 전환을 이루었다. AA기업은 중국 세관의 AEO기업이다. AEO MRA(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자국의 AEO에 대해 부여하는 통관절차 상의 혜택을 상대국의 AEO에 대해서도 적용하도록 관세당국 간 합의한 약정)가 정식 시행되면 중국 세관은 한국 세관이 인증한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기업을 한국의 AEO 기업으로 접수하고, 한국 세관은 중국 세관이 인증한 AA수출입기업을 중국의 AEO 기업으로 접수하게 된다. 양국 세관은 상대국 AEO기업의 수입화물에 대해 수입화물리스트 심사 간소화 등 통관 간소화 조치를 상호 적용하게 된다. 이 조치의 시행으로 인해 칭다오의 관련 기업과 한국의 무역이 대대적으로 촉진될 전망이다. 한국은 칭다오의 제4대 수출시장이자 제1대 수입원산지이다. 칭다오 세관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칭다오 시의 對한국 수출입은 85.3억 달러로 동기대비 7.5% 증가했고, 이는 동기 대비 칭다오 시 대외무역수출입 총액의 약 11%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또 칭다오 시 AA기업 수출입총액이 동기 대비 칭다오 시 대외무역 수출입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54%였다. 해관총서가 이전에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작년 8월에서 10월 중?한 세관의 AEO MRA 시범기간 동안 중국 시범기업의 평균 수입효율은 67%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한 세관의 AEO MRA 협력이 전면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더 많은 대한국 무역기업들이 혜택을 입을 것으로 관측된다. (기사제공 인민망 한국어판  http://kr.people.com.cn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