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론까지 나오는 최악의 신민 당 내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신민당 사정은 「갈수록 심각한」사태로 발전하고 있다.
지난 20일 주류의 정무지도 합동회의 강행에서 빚어진 주류·비주류의 파행 대치는 22일 비주류 청년들의 7시간에 걸친 당사 점거 사태를 가져 왔고 다시 주류는 중앙상위를 소집 않고 자파 정무위원끼리 서면 결의로 대신해 강행 「카드」를 또 하나 내놓았다.
이런 상황에서 25일로 예정된 전당대회는 과연 열릴 것인가. 주류는 대회 강행에서 한치도 후퇴하지 않고 있다.
대회장(시민회관별관)을 관할하는 남대문 경찰서에 이미 외곽 경비를 의뢰해 놓았으며 자체 경비 대책도 세워 놓고 있다. 비주류의 「기습」을 막을 비상 계획과 의사 진행 방안도 짜놓고 있고 비주류 조윤형씨 같은 이는 『주류가 단 1분만에 대회를 끝낸다는 정보가 있다』고 했다.
비주류는 『불법을 방관 할 것이 아니라 참여해서 저지한다』는 것이 기본 방침. 이에 따라 25일 대회장에는 새벽부터 포진해 그들이 주장하는 무자격 대의원들의 입장을 저지할 움직임이다.
비주류가 대회장에서 ▲중앙상위의 서면 결의 무효▲합동회의의 불법성▲김 총재가 임명한 중앙상무위원 자격 문제 등을 거론하면 대회장에서 주류·비주류가 격돌할 것은 필지의 사실.
전당대회에 참석할 대의원 수는▲중앙상무위원 3백30명▲지구당 위원장 임명 대의원 3백50명▲정무회의 선출 「케이스」 1백명 중 중앙당 부·차장 32명 임명(나머지는 불임명)으로 7백12명.
주류는 이 중 4백50명 가량을 확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비주류는 대회가 열리지 못하면 김영삼 총재의 임기가 5월까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김 총재의 재집권을 일단 저지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이택돈 의원은 이 경우 당헌에 따라 이충환 전당대회 의장이 당수 권한을 대행하게 된다고 해석했다.
대회가 성립되어 김 총재가 재선되더라도 비주류가 승복하지 않을 것은 명백하다.
비주류는 대회 후 ▲사사건건 김 총재에 도전하는 방안 ▲별도의 원내 교섭 단체 구성 ▲분당 등을 검토할 수 있다.
한 강경파 의원은 비주류 의원이 모두 신민당을 떠나 통일 당에 입당하면 원내 제 1의 야당 교섭 단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6명의 신민 당 의원 중 반수인 28명이 비주류이고 거기에 현 통일 당 의원 3명을 더하면 신민당을 앞서게 된다는 계산이 그 근거가 돼있다.
실제로 비주류가 분당을 하든 안 하든 이번 당권 경쟁의 결과로 주류·비주류가 화합할 수 없는 극한 상황으로까지 발전했다는 것은 야당의 장래를 위해 불행한 사태다. <조남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