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왜곡 대응, 학자들이 나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국사.동양사.서양사를 망라해 국내 역사학 관련 46개 학술단체가 힘을 합쳐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이들은 7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역사학연구단체협의회'(이하 역단협) 결성을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공동 성명서를 낭독했다.

역단협에는 한국사연구회(회장 김도형 연세대 교수).동양사학회(회장 조병한 서강대 교수).역사교육연구회(회장 정현백 성균관대 교수).한국역사연구회(회장 오종록 성신여대 교수).한국서양사학회(회장 최갑수 서울대 교수).대구사학회(회장 최정환 경북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역사학 관련 총 58개 단체 가운데 거의 대부분 학회가 한목소리를 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역단협은 성명서에서 "최근 일본 정부의 검정을 통과한 후소샤 판 중학교 역사 교과서 내용을 검토한 결과 4년 전 우려하며 지적했던 왜곡된 역사관이 거의 수정되지 않고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일본 정부는 왜곡된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것에 책임을 통감하고 교과서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침략을 미화하고, 인접국을 멸시하는 군국주의적 역사관을 청산하고,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정립과 동아시아 평화 정착을 지향하는 교과서로 대폭 수정하라"고 요구하면서 "일본의 학계.지식인.시민들은 왜곡된 역사 교과서가 채택되지 않도록 2001년처럼 다시 한번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역단협은 역사 교과서의 왜곡 사항도 구체적으로 지적했다. "후소샤판 역사 교과서는 4년 전과 같이 이번에도 청일전쟁 이후 여러 차례 자행된 침략전쟁을 일본의 방위전쟁이라고 정당화하고, 심지어 군국주의 시대에 일본이 일으킨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아시아 해방에 도움이 된 전쟁이라고 미화하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역단협 출범의 실무 책임을 맡은 한철호(동국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2001년 일본 교과서 문제, 2003년 중국 동북공정 등 역사 왜곡 사태가 벌어졌을 때 개별적으로 대처하는 데 그쳤었다"며 "이제 국내외에서 벌어지는 역사 분쟁에 대해 일시적 여론 환기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조직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역단협은 오는 22일 일본 교과서의 역사 왜곡과 관련, 첫 학술대회를 서울역사박물관 강당에서 개최한다. 6월 말께 한.중.일 역사학자가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도 추진할 계획이다.

배영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