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교국과도 문호개방」원칙 따른 조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국역도·「레슬링」대표선수단의 소련입국은 소련이 1980년 「올림픽」을 의식, 비수교국과도 「스포츠」문호개방을 단행한다는 원칙에 따라 취해진 조처로 해석된다.
소련은 73년8월에 열린「모스크바」하계「유니버시아드」에 한국대표선수단 38명을 입국시킨 일이 있어 체육회는 이번의 소련입국에도 그 가능성을 깊게 의식하면서 국제연맹을 통해 조심스러운 교섭을 벌여왔다.
대한체육회는 그동안 국제경기연맹사무총장이며 국제역도연맹사무총장인 「오스카·스마이드」씨가 지난24일 내한했을 때 적극적인 교섭을 벌였으며 그 밖에 일본을 통해 소련대회조직위원회에 초청장발송을 요청하는 등 다각적인 활동을 벌였다.
이러한 노력이 주효했던지 5일 역도·「레슬링」선수단16명의 입국「비자」를 주일소련대사관으로부터 받는데 성공한 것이다.
그러나 소련이 비 수교국인 한국에 2년 전 「유니버시아드」에 이어 이번에 또다시 2개중목선수단의 입국허가를 한 것은 북괴의 가능성 있는 방해공작에도 불구하고 「스포츠」의 문호개방이란 초연성을 원칙으로 삼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고있다. 어떻든 한국「스포츠」가 두번째로 소련에 입국하게 됐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큰 뜻을 갖고있으며 언제라도 공산권에 뛰어들어「스포츠」를 통한 적극적인 외교활동과 경기력 입증의 기회를 가져야한다는 점에서 계속 진취적인 발전을 모색하는 자세를 갖고 있어야 할 것이다.<노종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