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이번엔 원산서 방사포 7발 발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북한이 4일 오전과 오후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연이어 7발의 방사포(다연장포)를 발사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6시쯤 호도반도에서 240㎜로 추정되는 방사포 3발을 발사한 데 이어 오후 4시17분부터 한 시간여 동안 300㎜ 방사포(KN-09) 4발을 추가로 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러한 북한의 군사행동은 한·미 연합훈련인 키 리졸브 연습에 대해 사거리가 다양한 발사 수단으로 무력 시위성 위협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북한의 오전 발사 사실을 밝히지 않다가 오후 들어 북한이 사격을 이어가자 언론에 공개했다. 군 당국자는 “북한이 오전에 발사한 방사포는 55㎞가량 날아갔다”며 “240㎜ 방사포 사격은 우리 군의 사격훈련처럼 일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이어서 공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우리 군도 사거리 50㎞ 안팎의 K-9 자주포 사격훈련을 수시로 실시하고 있다.

 군은 오전만 해도 240㎜ 방사포 발사를 기존 50여㎞였던 사거리를 70여㎞로 늘리는 차원에서 진행한 시험발사로 판단했었다. 그러나 오후 들어 개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KN-09 신형 대구경 방사포 사격을 실시하자 입장을 바꿨다. 군 당국자는 “북한은 지난달 21일에도 같은 종류의 무기로 사격을 실시했지만 자신들의 영해에 떨어뜨려 시험발사로 봤다”며 “하지만 이날은 항행금지구역 선포도 하지 않은 채 원산 일대에서 북동 방향의 공해상으로 쐈기 때문에 도발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KN-09는 우리 군에 새로운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어 군 당국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2000년대 초 중국의 기술 지원으로 개발 중인 300㎜ 방사포는 최대 사거리가 180㎞ 이상인 데다 자체 로켓 추진 유도시스템 을 갖추고 있어 미사일급으로 평가된다. 개성에서 사격할 경우 육·해·공군 본부가 위치한 계룡대가 사정권에 들어가고 황해도에서 쏴도 평택 미군기지를 공격할 수 있다. 국책연구기관 관계자는 “기존 방사포는 수도권을 목표로 다량의 포탄을 무차별적으로 쏟아붓는 무기”라며 “KN-09는 짧은 발사 준비시간으로 먼거리의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는, 차원이 다른 미사일급의 위협 수단”이라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