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평화 회의 제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동경=박동순 특파원】김영삼 신민당 총재는 20일 낮 남북간의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중공의 한국 승인 및 미·일의 북한 승인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 ▲남북한 및 미· 소·일·중공 등 유관국이 참가하는 동북아 평화 회의 개최를 제의했다.
김 총재는 이날 동경 외신 기자 「클럽」에서 연설을 통해 『이러한 일련의 조치가 「두개의 한국」을 고정화하는 것이 아니라 통일로 가는 과정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면서 『이를 추진하기 위해 필요하고 가능하다면 북한은 물론 중공·소련까지도 방문, 그곳 지도자들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시베리아」가 개발되고 중국 대륙이 개방될 때 새로운 동북아 시대가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 『그때에는 우리의 지정학적 조건이 4강의 협력과 이해 속에서 선용될 지혜를 찾고 꾸준한 노력을 쏟는다면 한국을 보나 위대한 국가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김 총재는 『남북대화 중단과 긴장의 책임이 남북문제를 정권 연장에 이용하는 남북의 현 두 정권에 있다』고 주장하고 『남북 두 정권은 이 이상 긴장을 조작하지 말고 남북대화를 재개, 통일을 향한 진실한 노력을 경주하라』고 촉구했다.
『통일을 촉구함에 있어 선행해야 할 일은 우선 남한만이라도 민주주의를 토착화시켜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한 김 총재는 『박 대통령이 75년에 선택해야 할 것은 한반도의 장래를 위해 개헌을 단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박 정권이 변칙적 방법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원치 않으며 평화적 절차에 의해 정권이 교체되는 민주 전통과 정치 보복 없는 정치 윤리를 확립하는 게 소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소위 유신헌법의 제정 과정이 위헌적이었으며 내용도 독재와 영구 집권을 위한 헌법』이라고 말하고 『오늘날 한국이 상면한 모든 난관을 극복하는 출발점은 민주주의가 회복돼 국민이 믿는 정부, 국민이 택한 민주 정부가 수립되는데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래야만 평화 통일의 대망 실현, 정치적 안정 및 국제 신뢰의 회복, 경제 번영을 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새로운 동북아 시대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새 역사 창조에 적응, 참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