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 의장 절충안 사실상 거부|개헌특위협상 다시 당론 조정, 곧 재회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여야는 13일 상오 정일권 국회의장이 내놓은 개헌특위구성에 관한 절충안을 놓고 최종절충을 벌였다.
정 의장은 이날 두 번째 열린 국회의장단 여야 총무연석회의에서 ①특위의 이름을 「헌법연구조사특별위원회」로 하며 ②주문에 『신민당은 헌법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나 공화당과. 유정회는 신민당의 주장이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므로 헌법을 여야 공동으로 조사·연구·검토하기 위하여 국회특별위원회를 구성한다』는 표현을 쓰며 ③구성방법·운영방식·활동기간은 추후에 합의토록 하자고 제의했다.
여야는 각기 당론조정을 거쳐 회답키로 합으로써 연석회의는 금명간 한차례 더 열릴 것 같다.
정 의장은『절충안에 대해여 야가 불만이 있겠지만 국회정상화를 위한 대의명분을 생각하여 받아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용태 공화·민병권 유정회 총무는 주문에「헌법개정」이라는 문구를 넣은 것은 이 표현을 쓸 수 없다는 여당방침과 어긋난다고 말했으며, 김형일 신민당 총무는 명칭에 헌법개정이라는 문구를 넣지 않은데다 주문에서「평민당 주장이 부당하다」는 표현을 쓴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난색을 표했다.
유정희는 이날 연석회의 후 정책위를 열어『정의장의 당총재는 고흥문 정무희의 부의장 및 김 총무와 대책을 협의한 자리에서 『개헌특위관철이라는 당론이 이미 정해져있는데 더이상 얘기할 것이 뭐 있느냐』고 즉각 거부반응을 보였다.
김 총재는『공화당안과 다를 게 없다』면서 『신민당론이 긍정적으로 모아질 수는 없다』 고 말했다.
그러나 온건론자로 알려진 이철승 부의장은『의장조정안이 국회로서는 마지막 절충안이니 만큼 정무회의와 의원총회 등 당 공식기구를 거쳐 신중히 검토,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종하 의장비서실장은 『정의장의 절충안이 처음이자 마지막 안이므로 제2의 절충안을 준비하고 있지 않다』면서 의장이 여야 수뇌급 희담 등을 주선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여당 측은 12일 하오 공화당에서「헌법비교연구특위」, 유정회에서 「헌법조사연구특위」라는 명칭을 붙인 최종안을 정 의장에게 제출했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