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훈련에도 이산상봉 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남북이 20~25일로 정한 이산가족 상봉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상호비방과 중상도 하지 않기로 했다. 또 ‘편리한 날짜’에 고위급접촉을 다시 한다.

 우리 쪽 수석대표인 김규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과 북쪽 단장인 원동연 노동당 통일전선부 제1부부장은 14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두 번째 고위급 접촉을 통해 이런 내용의 ‘공동보도문’ 3개 항을 채택했다.

 김 차장은 기자회견에서 “남북은 주요 관심 사안에 대해 격의 없이 의견을 나눴다”며 “북측에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기본 취지를 설명하면서 이산가족 상봉이 남북관계 개선의 첫 단추라는 점을 강조했고, 북쪽도 우리가 설명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기본 취지에 이해를 표했다”고 밝혔다. 김 차장은 “남북은 상호 관심사가 되는 문제들을 계속 협의해 남북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한도 이를 ‘중요 소식’으로 곧바로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북남 고위급 접촉이 진행되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쌍방은 북남관계를 개선해 민족적 단합과 평화번영, 자주통일의 새 전기를 열어나갈 의지를 확인하고 북과 남 사이에 제기되는 여러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협의했으며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북한이 키 리졸브 한·미 합동군사훈련은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우리 쪽 원칙을 수용한 것을 평가하고 있다. 김 차장은 “북한은 어떤 조건도 없이 이산가족 상봉을 예정대로 진행하는 데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북쪽이 제기한 ‘최고 존엄’에 대한 비방 중단 문제는 일단 정부 차원에서 노력하는 선에서 가닥이 잡혔다.

 김 차장은 “북측 은 올해부터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들어가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연설을 잘 알고 있었다”며 “북측이 ‘한번 진지하게, 진솔하게 이야기해보고 싶었다’고 했다”고 소개했다. 이날 합의된 ‘편리한 날짜’의 고위급 접촉은 북한의 요구를 우리가 수용한 것이라고 한다.

유지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