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타바이러스, '로타릭스' 2회 접종으로 예방 끝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영유아 설사의 주범이라 불리는 로타바이러스는 겨울부터 봄 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주로 대변-경구로 전염되는 로타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5세 미만 영유아의 95%가 한 번은 감염될 정도로 발병률이 높다.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설사와 구토 증상을 보이는데, 심한 경우 탈수 증상으로 이어져 목숨을 잃기도 한다. 현재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무엇보다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

국내에서 접종이 가능한 로타바이러스 백신 중 GSK의 ‘로타릭스’는 전 세계 120여 개국에서 허가를 받아 접종되고 있다. 뛰어난 예방효과를 인정 받아 세계 최초로 1억 5000만 도즈 판매를 돌파한 로타바이러스 백신이다.

로타릭스는 유일하게 순수 사람균주를 사용한 3세대 로타바이러스 백신이다. 우리 몸은 일부 바이러스나 세균에 한두 차례 감염되면 면역기전에 의해 그 병원체에 저항력을 갖게 된다. 로타바이러스의 경우 두 번의 로타바이러스 자연감염 이후에는 혈청형에 관계없이 중증의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대해 100%의 예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로타릭스는 바로 이와 같은 자연감염 효과를 실제 로타바이러스 예방에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순수 사람균주를 사용한 백신이다.

두 번의 자연감염 이후에 나타나는 예방 효과처럼 로타릭스는 단 2회 접종을 통해 다양한 로타바이러스 유행 균주(G1P[8], G2P[4], G3P[8], G4P[8], G9P[8])에 대한 광범위한 예방 효과를 보인다. 아시아·유럽·아프리카·남미 등지에 걸친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됐다. 특히 아시아 연구에서는 2년간 중증 로타바이러스 장염을 96.1% 예방, 3년째는 100% 예방이라는 효능을 보인다.

2회만 접종하면 모든 접종이 끝나기 때문에 로타바이러스 발병률이 높아지는 생후 3개월 이전에 로타바이러스 장염 예방이 가능하다. 조금이라도 빨리 전염성이 높은 로타바이러스로부터 아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로타릭스는 생후 6주부터 첫 접종을 시작해 최소 4주의 간격을 두고 2차 접종을 하면 총 2회 접종으로 생후 10주 안에 모든 접종을 완료할 수 있다. 2차 접종은 생후 16주 이전에 완료하되, 이 기간 내 투여하지 못한 경우 최대 생후 24주까지 마쳐야 한다.

[인기기사]

·[단독] 커피빈, 매장 고객에 화상 입히고 나몰라라? [2014/02/13] 
·암으로 숨진 남편과 7년 동거한 女약사 입건 [2014/02/13] 
·No.249 커피빈 매장 고객에 화상 입히고 나몰라라? [2014/02/13] 
·전공의 ‘주당 100시간 근무’ 옛말 되나 [2014/02/13] 
·정부의 3대 비급여 개선안, 병원계도 반대 [2014/02/13]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