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교포 2백명 귀국 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귀국을 희망하는 「사할린」 억류 교포 가운데 2백 명이 11월 초순 안에 일본 외무성으로부터 「송환에 관한 모종 통지」를 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멀지않아 귀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 12일 외무부와 송환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귀국한 「사할린」 억류 귀환 한국인회 회장 박노학씨(60·동경도 족립구 6정목 1-32-15)에 의해 18일 전해졌다.
박씨는 지난 4월부터 10월 10일까지 6개월간 귀환 한국인회가 다시 조사한 귀환 희망자 1천6백30명의 명단을 지난8일 일본 외무성에 제출하는 자리에서 1개월 내(11월 8일) 귀환에 관한 통지가 나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히고 일 외무성의 통지 내용이 『일·소간의 송환 합의에 의한 소련 출국 통지인지 아니면 송환 협의를 위한 최종 의사 타진인지 분명치 않으나 귀환에 관한 희망적인 통지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씨가 일 외무성에 새로 제출한 귀환 희망 억류 교포는 67년 현재 조사된 귀환 희망 교포 7천여명을 대상으로 귀환 신청서를 새로 보내 귀국 의사를 최종 타진, 10월 10일 현재 집계된 명단으로 일 외무성의 통지를 받게 될 교포고, 이중 「모스크바」 주재 일본 대사관에 귀환 신청서를 낸 사람들이다.
이번에 다시 확인된 귀환 희망자는 ▲한국 귀환 희망이 3백75가구 1천5백65명 ▲일본 정착 희망이 11가구 65명이며, 국적은 ▲무국적 1백89가구 ▲소련 국적 59가구 ▲북괴 국적 1백6가구 ▲미상 31가구로 돼 있다.
「사할린」 교포 송환 문제는 그 동안 한국 정부가 이들이 일제에 의해 강제 징용된 자들이므로 일본의 책임 하에 송환, 일본서 거주지 선택의 권리가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일본측은 송환 및 인수를 전적으로 한국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 의견이 대립되어 왔으나 지난 6월 한국 귀환 희망자는 우선 한국이 인수하고 일본 정착 희망자는 일단 보류키로 양국간에 의견이 접근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