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팔린 국산 승용차 29%가 디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아반떼 디젤

‘국산 승용차는 무조건 가솔린’이라는 고정관념이 빠른 속도로 깨지고 있다.

 22일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가솔린과 디젤 모델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현대차의 비(非)SUV 승용차들, 다시 말해 엑센트·아반떼·i30·i40의 지난해 디젤 모델 판매 비중은 29.19%에 달했다. 지난해 8월에 디젤 모델이 출시된 아반떼는 8월 이후의 판매량만으로, 나머지 3종은 지난해 1년 전체의 판매량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다. 이들 차량의 해당 기간 총 판매량은 8만6204대였고 이 중 디젤 모델 판매량은 2만5163대였다.

 지난해 총 판매량의 62%가 디젤차였던 수입차보다는 낮지만 과거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아진 비중이다. 엑센트는 2만8607대 중 33.2%인 9519대가, i30는 1만410대의 절반이 넘는 5742대가, i40는 5825대의 절대 다수인 4434대가 디젤 차량이었다. 베스트셀러인 아반떼의 경우 다른 차들보다 디젤 판매 비중이 낮았지만 판매량 자체는 적지 않았다. 8월 이후 판매된 4만1332대의 아반떼 중 13%인 5468대가 디젤 차량이었다. 월평균 1100대 정도의 아반떼 디젤이 팔려 나갔다는 얘기다. 과거 두 차례나 아반떼 디젤 모델이 도입됐다가 판매량이 극히 미미해 결국 사라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성과다. 12월엔 디젤 판매비중이 15.8%까지 높아졌다. 기아차의 비SUV 디젤 승용차인 프라이드(지난해 3월 출시)·K3(지난해 12월 출시)·쏘울의 디젤 모델 판매비중까지 더해 계산한 현대·기아차 전체의 실질 디젤 승용차 판매비중도 25.75%에 이른다.

 국산 승용차의 디젤 판매 비중이 늘고 있는 이유로는 기술 발전으로 인한 소음·진동의 감소와 고연비, 수입 디젤 승용차의 인기 때문에 디젤차에 대한 인식 자체가 바뀌고 있다는 점 등이 꼽히고 있다. 실제 지난해 국내 자동차 시장 총 판매량 153만399대 중 디젤차가 30%인 45만9480대를 차지했을 정도로 디젤차의 토대는 탄탄해진 상태다. 올해도 르노삼성 SM5, 한국GM 말리부, 현대기아차의 그랜저와 신형 쏘나타 등이 디젤 모델 출시가 확정됐거나 점쳐지고 있다.

박진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