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토 문제로 산유국 군비 경쟁 가열|선진국 원유 수입적자 메우기 작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미·영·불·서독 등이 중동 산유국을 상대로 무기 판매 경쟁에 광분하는 것은 방대한 원유 수입 적자를 메우기 위해서이다.
전문가들의 계산에 의하면 현재의 적자폭이 그대로 계속될 경우 80년에는 「아랍」산유국의 외환 보유고가 2천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 한다. 따라서 대 석유 소비국들은 무엇인가 대응 수출품을 찾아야 할 입장.
「아랍」산유국들은 「이란」의 인구 3천만을 재외하곤 모두 1천만 미만의 나라들이므로 일상용품에 대한 총수요는 보잘 것 없으므로 시장의 크기가 인구와 관계없이 결정되고 선진공업국만이 독점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가격면에서 특수 체제가 허용되는 현대 병기를 전략상품으로 뽑은 것이다.
무기를 파는 선진국의 입장은 이로써. 설명되지만 인구 35만인 「쿠웨이트」나 8만밖에 안 되는「아부다비」같은 나라까지 뭣 때문에 이처럼 막대한 돈을 들여 현대 병기를 사들이느냐가 문제다. 이점에 관해서는 관계 전문가들도 딱 부러지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 같다.
『「이스라엘」의 침략을 분쇄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지만 그것은 명분일 뿐이다.
일부에서는 국내의 정치·사회적 불안을 누르기 위한 물질적 장치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맨 주먹인 불평분자들에 대비해서 최신형 전투기와 「탱크」를 산다는 것은 아무래도 납득이 가지 않는다.
군비 경쟁의 원인을 심리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는 사람도 있다.
예컨대 「이라크」가 새 전투기를 사들이면 영토 문제로 다투던 「이란」이 뒤따르고. 이것은 「이란」과 「페르샤」만 제공권을 다투는 「사우디아라비아」에 파급된다.
한편 「쿠웨이트」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중립지대의 관할권 분규를 안고 있으므로 가만히 있을 수 없고 「아부다비」는 「페르샤」만 내해에서 「쿠웨이트」와 균형을 취하기 위해 똑같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쨌든「아랍」산유국의 때아닌 군비 경쟁은 자원 민족주의의 현란한 승리를 망칠 정도로 이상 열기를 뿜고 있다.<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