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Report] 국방·원자력 분야 선정할 기술 없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한국공학한림원이 18일 발표한 ‘대한민국 미래 100대 기술과 주역’은 산업계의 미래보고서다. 선정된 100대 기술은 한국이 ‘빠른 추격자’(패스트 팔로어)로 선진국을 뒤쫓던 전략에서 탈피해 ‘선도자’(퍼스트 무버)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성장엔진이다. 100대 기술을 선정하고 주역들을 발굴하는 작업을 총괄한 권오경(58·사진) 한국공학한림원 부회장(한양대 교수)은 18일 “앞으로 우리나라가 먹고살 길은 우수한 인재들이 개발한 새 기술로 전 세계 시장을 공략하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선정된 100대 기술은 5~8년 내에 상용화될 가능성이 높은 유망주들”이라고 소개했다.

 권 부회장은 앞으로 20~30년간 세계를 움직일 5가지 ‘메가 트렌드’로 ▶건강 ▶지속가능 ▶스마트 ▶안전 ▶성장을 꼽았다. 한림원이 우리 정부와 미국·일본 등 선진국의 과학기술 발전 로드맵을 검토해 뽑은 것으로, 100대 기술은 이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산업별 기반 기술이다.

권 부회장은 “단순히 이 분야에 해당된다고 미래기술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5가지 트렌드 중에서 2~3가지에 걸쳐 있는 융합기술이 퍼스트 무버로 산업을 선도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권 부회장은 “조선업체들이 선박을 만드는 데 정보기술(IT)을 접목한 결과 한국의 선박 건조 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돼 경쟁력이 높아졌다”며 “이런 융합 사례가 각 분야에서 많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융합기술로 세계 시장을 이끌어 가려면 풀어야 할 숙제가 아직도 많다. 권 부회장은 인재 육성을 강조했다. 그는 “국내에 해당 산업이 없다면 인재들이 외국에 진출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식으로 길게 보고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방·원자력 관련 기술들이 빠진 점을 아쉬워했다. 외교 문제 때문에 산업적 기반이 거의 없어 선정하려고 해도 할 만한 기술이 없었다는 것. 권 부회장은 “기초기술만이라도 연구할 수 있는 장을 열어줘야 관련 산업이 커질 때를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